55% "공수처, 중립적이지 못할 것"..40대 제외 전 연령층서 불신 높아 ['창간 32' 여론조사 ]

배민영 2021. 1. 31. 18: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일보 창간 여론조사에서 "공수처가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24.4%는 "전혀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여당인 민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71.8%가 공수처를 신뢰했고, 야당인 국민의힘 지지자의 88.3%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수처 신뢰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 공수처 현판. 뉴스1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중립성과 독립성을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일보 창간 여론조사에서 “공수처가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24.4%는 “전혀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대체로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도 31.0%에 달했다. 전체 응답자의 55.4%가 공수처의 독립성에 의구심을 표출한 셈이다. “중립성과 독립성을 유지할 것”이라고 본 응답은 39.5%(‘잘 유지할 것’ 14%, ‘대체로 유지할 것’ 25.5%)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5.2%였다.

호남권과 40대층에서 공수처를 독립된 기관으로 평가했고 영남권에서는 그 반대의 평가가 많았다.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을 낙관한 응답자층은 40대(50.7%)가 가장 두터웠다. 이어 30대(42.2%)와 50대(38.3%), 만18~29세(35.8%), 60세 이상(33.7%) 순이었다. “유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에선 50대(59.1%)가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57.9%)과 만18~29세(57.2%), 30대(55.7%), 40대(45.5%)가 뒤를 이었다.

광주·전라 지역에서 “유지할 것”이란 응답이 63.1%로 가장 많았고, 대구·경북 지역에선 “유지하지 못할 것”이란 응답이 70.2%에 달했다.

지지 정당별로 살펴보면 여당인 민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71.8%가 공수처를 신뢰했고, 야당인 국민의힘 지지자의 88.3%는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념 성향별로 봐도 “유지할 것”이라고 응답한 67%는 진보 성향이었고, “유지하지 못할 것”이라 응답한 78.8%는 보수 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이념에 따라 공수처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 셈이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조사 어떻게 했나
 
세계일보가 창간 32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이뤄졌다. 지난 26~28일 3일간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10명을 대상으로(유무선 RDD로 추출) 일대일 전화면접조사(CATI)로 진행했다. 유선 전화면접 21%, 무선 전화면접 79%를 합산했다. 2020년 1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성, 연령, 지역별 가중값(셀가중)을 부여했다.
 
응답률은 10%(총 통화시도 1만55건)이며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일부 백분율 합계는 99.9% 또는 100.1%가 될 수 있는데 이는 소수점 반올림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전체 결과 해석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전체 표본 중 남자는 546명(54.1%), 여자는 464명(45.9%)이었다. 연령별로는 만 18~29세 142명(14.1%), 30대 128명(12.7%), 40대 183명(18.1%), 50대 230명(22.8%), 60세 이상 327명(32.4%)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214명(21.2%), 인천·경기 310명(30.7%), 대전·세종·충청 99명(9.8%), 광주·전라 108명(10.7%), 대구·경북 100명(9.9%), 부산·울산·경남 143명(14.2%), 강원·제주 36명(3.6%)이었다.
 
조사는 △국정평가 및 전망 △외교·안보 △경제·산업 △정치·선거 등 분야에서 이뤄졌다. 응답자 특성은 △성·연령·지역 △직업·소득·이념 성향 등으로 구분했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혜진 기자 janghj@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