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필요한 땐 안돌아가네"..'청개구리' 제주 풍력발전

오찬종 2021. 1. 31. 18: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풍력발전 강제중단 77회
文정부 3년만에 5배이상 늘어
정작 필요할땐 가용 전기부족
육지에서 30% 끌어써 비효율

정부의 그린뉴딜 실험공간(테스트베드)인 제주도에서 전력 수급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전력거래소는 제주도 풍력발전에 대한 강제 제어를 총 77회 실시했다. 강제 제어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급증하면 전력계통에 과부하가 오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실시하는 조치다.

강제 제어 증가 문제는 매년 더 심해지고 있는 추세다. 강제 제어는 현 정권이 들어선 2017년 14건을 기록했지만 2019년 46건으로 치솟더니 3년 만에 5배 이상 늘었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버려지는 전기량도 3년 새 1.9GWh 수준으로 15배 늘어났다.

문제는 이 같은 강제 제어가 제주도 지역 전기 생산이 풍부해서 벌어지는 조치가 아니라는 점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제주도가 지난해 사용한 전기의 30%는 육지에서 해저 케이블을 통해 조달해 온 것이다. 과잉공급일 때는 과부하 문제를 초래하고 정작 필요할 때는 전기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청개구리가 된 셈이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제주도의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계통의 안정적 운영 방향' 보고서를 내놓으며 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지적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전력계통 안정성 차원에서 조속히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불균형으로 인해 정부의 청사진을 믿고 투자했던 발전사들도 피해를 입고 있다. 현재는 셧다운으로 인한 피해를 발전사들이 고스란히 떠안는 상황이다. 지난해 발전사들이 강제 제어 발전으로 인해 입은 손실은 20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우리나라는 현재 이에 따른 마땅한 보상 제도가 없어 발전사들은 아무런 구제 방안 없이 출력 제한을 강요받고 있다.

[오찬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