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돼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을 맡는다고 1월 31일 밝혔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은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실증 차량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고 관제 컨트롤 타워 구축 및 향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LG유플러스 컨소시엄이 선정돼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을 맡는다고 1월 31일 밝혔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은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실증 차량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고 관제 컨트롤 타워 구축 및 향후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를 위해 빅데이터 기반의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는 자율주행 실증차량의 운행·인프라·교통 정보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뒤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하며 5G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관제센터에서는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에 투입하는 차량에 대한 △실시간 관제 및 현황 관리 △실증 테스트 관리 △V2X 인프라 관리 △정밀지도 구축 및 관리 등 통합 관제가 가능하다.
특히 이번 사업에서 LG유플러스는 세종시 내에서 진행되는 자율주행 실증 환경의 다양화를 위해 기존 실증구간을 60km 범위까지 늘릴 수 있도록 정밀지도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고정밀 측위기술(RTK)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빅데이터 관제센터 내에는 오픈랩도 구축될 예정이다. 오픈랩에서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수집 및 분석한 자율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오픈 API를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의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및 상용화도 지원한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람부부 아내 "남편, 관계 중 야동 속 女와 비교"
- 전주 주차장서 20대 숨진 채 발견…남성 옆에는 전동킥보드
- '검사♥' 김수민, 男 대시에 당혹…"유부예요"
- 직장동료 살해후 아내 성폭행, 4살 자녀는 지켜봤다...'인면수심' 40대의 최후
- 남아공 폐금광에서 경찰이 시신 78구 발굴 생존자 246명 구조
- 서정희 "서세원과 이혼 후 불순한 男 접근 많았다"
- "임신 중 가슴 빤히 보는 남편 'XX 좀 커졌어?'…수치스러워"
- "교복 셔츠 벗고 집에 가라"…화난 교장의 황당 지시
- 추미애 "김여사, 해군 함정서 술파티" 유흥에 안보자산 이용했다 주장
- 원더걸스 예은, 尹 대통령 체포 심경?…"상쾌한 하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