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미디어아트로 재탄생한 '괘불'
국립중앙박물관이 이달부터 괘불과 승려 초상을 담은 디지털 영상을 상설전시관 2층 불교회화실에서 선보인다. 고화질 입체 영상으로 옮기자 그동안 미처 깨닫지 못했던 불교미술의 아름다움과 생동감이 선명하게 다가온다.
괘불은 조선시대 야외에서 불교 의식을 거행할 때 걸었던 대형 불화다. 다양한 불교 의식과 함께 오늘날까지 계승돼 한국 불교문화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번 미디어아트는 110점이 넘는 현전하는 괘불 가운데 서로 다른 형식을 보이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석사 괘불'과 국보 301호 '화엄사 괘불', 보물 1270호 '은해사 괘불' 등 총 3점을 제작했다.
관람객은 12m 대형 스크린에 투사된 2D와 3D의 불교 세계를 보며 원작의 아름다움을 넘어서 압도적인 시각적 즐거움까지 느낄 수 있다. 개별 괘불에 대한 정보는 이번에 함께 제작한 미디어패널로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기존 불교회화실 휴게공간에서는 실제 과거에 존재했던 승려와 현재 관람객이 영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실시간 인식 센서로 관람객이 다가오면 화면 속 승려 초상이 반응하며 관람객에게 대화를 건넨다. 영상 속 승려가 서로 대화를 나누는 진귀한 풍경도 펼쳐진다.
승려 초상화 영상은 조선 불교 부흥의 중심인 서산대사 휴정(1520~1604)과 승려이자 불화를 그리는 화가로도 활동한 신겸(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활동)의 진영(승려 초상) 2점을 바탕으로 제작했다.
이번에 아트디렉터로 김현석 홍익대 시각디자인과 교수, 윤정원 상명대 디지털만화영상전공 교수가 참여했다. 제작사 지노드(대표 이재선)는 불교회화에 최신 CG기술을 융합했다. 불교회화실 영상은 상시 만나볼 수 있으며, 괘불 미디어아트는 매시간 30분 간격으로 상영된다.
[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서점가 큰손` 40대 여성, 베스트셀러 결정한다
- 초대형 미디어아트로 재탄생한 `괘불`
- 서부영화 이전에 서부오페라가 있었다
- "새 지저귐·종소리…오르간은 우주 같은 악기"
- 김기창은 왜 자기 아내를 `밤 부엉이`로 표현했을까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스멀스멀 떠오르는 엔비디아 ‘저평가론’
- “가상 부부의 인연에서 진짜 우정으로”… 김소은, 눈물 속 故 송재림 배웅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