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풀어준 김영란법 덕에..백화점 선물 매출 '역대급'

김하나 2021. 1. 31. 11: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설 명절에 한해 청탁금지법, 이른바 김영란법을 한시적으로 완화한 영향이 바로 나타나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설 선물세트 판매를 시작한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주요백화점들은 우리 농축수산물로 구성한 선물세트 매출이 급증했다.

롯데백화점이 지난 18일부터 30일까지 선물세트 매출을 비교한 결과 굴비는 115%, 선어는 103% 등으로 작년 설 대비 매출액이 늘어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선물가액 상향에 백화점 농축수산물 선물세트 인기
롯데백화점 굴비 매출 115% 증가
현대백화점, 20만 이상 고가제품도 잘 나가
이마트·SSG닷컴 '역대급' 매출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설 명절에 한해 청탁금지법, 이른바 김영란법을 한시적으로 완화한 영향이 바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청탁금지법상 설 농축수산물 선물가액을 20만원까지 상향했다. 이에 따라 고가 선물을 주로 취급하는 백화점을 비롯해 온라인쇼핑몰, 대형마트 등에서 관련 선물세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 반면 중저가 선물세트들은 예전만 못한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설 선물세트 판매를 시작한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주요백화점들은 우리 농축수산물로 구성한 선물세트 매출이 급증했다. 정부의 선물가액 상향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귀향 대신 선물로 보내려는 사람이 늘면서 고가 선물세트 수요도 많아진 탓이다.

롯데백화점이 지난 18일부터 30일까지 선물세트 매출을 비교한 결과 굴비는 115%, 선어는 103% 등으로 작년 설 대비 매출액이 늘어났다. 청과(94%), 정육(76%) 등도 매출증가가 두드러졌다. 생필품(44%), 주류(42%), 한과(37%), 홍삼(20%) 등의 매출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롯데백화점이 구성한 20만원 이하의 선물세트 중에서는 한우알뜰세트1호(19만8000원)·법성포 참굴비세트 1호(18만9000원) 등이 인기를 끌었다.

현대백화점은 선물세트 본판매를 시작한 지난 25일부터 30일까지 신선식품 선물세트 매출이 작년 설 본판매 기간 대비 176% 증가했다. 과일은 무려 258%가 증가했고 굴비(166%), 한우(145%) 등의 매출도 2배 이상 뛰었다. 가공식품 매출은 67% 증가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진=연합뉴스


현대백화점이 내놓은 한우 선물세트 중 상위 상위 1~10위에는 고가제품들이 차지해 눈길을 끈다. 특선한우 송 세트(29만원), 명품한우 수 세트(100만원), 화식한우 난 세트(56만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마트는 설 선물 사전예약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24일부터 올 1월28일까지 설 선물세트 사전예약 매출은 전년 설 사전예약 기간 대비 53% 증가했다. SSG닷컴의 경우 매출이 97.1% 급증했다.

이마트에서는 인삼·더덕 채소 세트의 경우 지난해 대비 매출이 678.8% 늘었다. 굴비를 포함한  수산 세트 매출도 92.1% 증가했다. SSG닷컴에서도 10만~20만원대 신선식품 세트 판매가 크게 늘었다. 정육 세트(277.8%),  과일 세트(253%), 수산 세트(212.6%) 등이 많이 팔렸다.

이마트는 여기에 20만원 이상을 호가하는 프리미엄 선물세트 매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9.8% 늘었다. SSG닷컴에서는 212.8%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선물가액 상향으로 10만~20만원대 한우와 굴비·과일 선물세트 판매가 증가했다"며 "귀성을 자제하는 분위기를 고려해 프리미엄 선물과 소포장된 1인 가구용 선물세트를 확대 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