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공유제' 의식 인터넷업계, 수익 폭증에 '정부 눈치보기' 노심초사

김광태 2021. 1. 31. 10: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터넷 업계가 사상 최대 규모의 호실적에도 노심초사하고 있다.

자칫 코로나 상황에서 급증한 이익이 최근 여권의 '이익공유제' 도입 논의에 촉매제 역할을 할까 경계하는 기색이 엿보인다.

이런 상황에 기업 실적이 발표되고, 인터넷 플랫폼 기업의 폭발적으로 늘어난 수익이 자칫 이익공유제 도입의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되지 않을지에 대한 업계의 근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 <네이버 제공>

인터넷 업계가 사상 최대 규모의 호실적에도 노심초사하고 있다. 자칫 코로나 상황에서 급증한 이익이 최근 여권의 '이익공유제' 도입 논의에 촉매제 역할을 할까 경계하는 기색이 엿보인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지난해 매출 5조3041억원, 영업이익 1조2153억원을 올리며 시장 기대치를 훨씬 뛰어넘는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 영업익은 2017년 이후 3년 만에 1조원을 넘겼고,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23%에 이른다.

카카오(2월 9일 실적 발표) 역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1조원 넘게 늘어 4조원을 돌파하고, 영업이익은 두 배 넘게 증가한 4500억원에 달할 것이란 게 증권가 전망이다.

국내 인터넷·모바일 플랫폼을 장악한 네이버·카카오가 코로나 19 사태의 가장 큰 수혜를 입는 양상이다.

다만 최근 정치권 분위기에 '코로나 수혜자'의 위치를 부담스러워하는 기색이 감지된다. 예컨대 네이버 한성숙 대표는 28일 실적발표 후 투자자 대상 컨퍼런스콜(전화회의)의 모두발언에서 중소상공인(Small and Medium Enterprise)을 뜻하는 'SME'라는 단어를 총 23번 언급했다. 자사 쇼핑몰인 '스마트스토어'에 입점한 중소상공인들을 위한 상생 노력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이익공유제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여권이 이익공유제를 들고 나오면서 팬데믹 상황으로 수혜를 많이 본 플랫폼 기업이 주된 적용 대상으로 물망에 떠올랐다. 더불어민주당이 네이버·카카오 등 업체를 불러 간담회를 열려고 한 적도 있다. 그러나 '기업 팔 비틀기'란 여론이 제기되면서 간담회 개최가 불발됐다.

이런 상황에 기업 실적이 발표되고, 인터넷 플랫폼 기업의 폭발적으로 늘어난 수익이 자칫 이익공유제 도입의 촉매제 역할을 하게 되지 않을지에 대한 업계의 근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꼭 코로나 사태가 아니더라도 성장 산업인 인터넷 산업에서 최대 실적 행진은 사실 당연한 일"이라면서도 "네이버나 카카오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은지기자 kej@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