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세종시 '자율주행 관제센터' 구축한다

오상헌 기자 2021. 1. 31.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LG유플러스가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기술 시연과 실증에 이어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자사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 상무는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 서비스(V2X) 네트워크 기술의 강점과 컨소시엄사들의 C-ITS(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수행 경험 등을 바탕으로 이번 관제센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구축 및 운영’ 사업 전체 시스템 개념도.


LG유플러스가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해 기술 시연과 실증에 이어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세종특별자치시 ‘자율주행 빅데이터 관제센터 및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자사 컨소시엄이 선정됐다고 31일 밝혔다.

‘자율주행 실증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된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실증 차량의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고 관제 컨트롤 타워 구축과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다. 컨소시엄에는 LG유플러스와 에스트래픽, '펜타시스템테크놀로지, 싸인텔레콤, 바이브컴퍼니 등이 참여했다.

LG유플러스는 오는 7월까지 빅데이터 기반의 관제센터를 구축한다. 관제센터는 자율주행 실증차량의 운행·인프라·교통 정보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한 뒤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바탕으로 5G도 시범 적용한다.

관제센터는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 투입 차량의 실시간 관제 및 현황 관리, 실증 테스트 관리,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프라 관리, 정밀지도 구축 및 관리 등 통합 관제를 한다.

LG유플러스는 세종시 자율주행 실증구간을 60km 범위까지 늘릴 수 있도록 정밀지도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고정밀 측위기술(RTK)도 시범적으로 적용한다.

빅데이터 관제센터에 ‘오픈랩’도 구축한다.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수집 및 분석한 자율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빅데이터를 개방하고, 오픈 API를 제공하는 등 중소기업의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및 상용화도 지원한다. V2X 통신 인프라의 보안을 위한 보안인증체계와 오픈랩에는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하는 등 온·오프라인 보안에도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강종오 LG유플러스 스마트시티사업담당 상무는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 서비스(V2X) 네트워크 기술의 강점과 컨소시엄사들의 C-ITS(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수행 경험 등을 바탕으로 이번 관제센터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걸친 것만 2971만원" 이다희, 과감한 초밀착 드레스…어디 거?박은석 고소인, 알고보니 15세 '은별이' 임신·출산시키고 '무죄'받은 그"20살 어린 여자후배와 불륜"…결혼한 여성들이 털어놓은 '비밀'딸과 식당 돌며 합의금 뜯던 부부…친부는 따로 있었다"은마 40% 하락 또 온다"…강남 아파트 판 차트쟁이
오상헌 기자 bborira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