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살 사람 다 샀다?..서울 아파트 또다시 거래절벽

국종환 기자 2021. 1. 31. 06: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말 일시적으로 반등한 뒤 새해 들어 관망세가 확산하며 다시 거래절벽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지난해 코로나19와 규제 등의 여파로 8~10월 거래량이 3000~4000건대에 그치는 등 거래절벽을 겪었다.

KB부동산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지난해 초만 해도 8억6997만원이었으나, 거듭 상승해 지난해 말 10억4299만원까지 올라 대출 규제 제한선인 9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계 중반 1월 거래량 전월比 4분의 1수준 불과
호가 부담에 매수세 주춤..집값 상승 폭도 둔화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국종환 기자 =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말 일시적으로 반등한 뒤 새해 들어 관망세가 확산하며 다시 거래절벽으로 빠져드는 분위기다. 호가 급등에 대한 부담감과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계약이 줄면서 당분간 거래위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3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 지역 아파트 실거래 신고 건은 집계 중반인 현재(29일 기준) 1633건에 불과하다. 아직 전월(7444건) 기록의 약 4분의 1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달 거래량은 실거래 신고기한(계약 후 30일)을 고려하더라도 많이 줄었다는 분석이다. 12월엔 비슷한 기간 실거래 신고 건이 3000건에 육박했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이달 실거래 총 신고 건은 전월보다 30%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지난해 코로나19와 규제 등의 여파로 8~10월 거래량이 3000~4000건대에 그치는 등 거래절벽을 겪었다. 이후 임대차법(7월31일 시행)에 따른 전세난으로 무주택자의 매수전환이 일어나면서 11~12월 거래량이 6000~7000건대로 반등했고, 집값도 추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매도우위의 시장에서 집주인들이 호가를 거듭 끌어올려 집값 부담감이 커지자, 새해 들어 매수세는 다시 주춤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개업계 한 관계자는 "전세난 영향으로 집을 살 사람들은 이미 연말에 한 차례 움직였다"며 "이후에도 매수 문의는 있지만, 호가가 너무 올라 대출 의존도가 높은 무주택자의 매수 여력도 한계에 부딪혀 매물을 계속 받아내긴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현재 투자수요의 경우 다주택 규제 강화로 인해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가 모두 대폭 인상됐고, 대출도 제한되기 때문에 시장 진입이 어려운 상황이다. 다주택 규제를 피하려는 일부 집주인 중에선 '똘똘한 한 채'로 갈아타려는 움직임이 있다.

5대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전세자금 대출 포함)은 473조7849억원으로, 11월보다 3조3611억원 늘었다. 앞서 8~11월엔 매월 4조원 이상 증가했다. 신용대출 잔액도 12월 기준 133조6482억원으로, 1년 전보다 23조7374억원(21.6%) 급증했다. 전세난을 피해 막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매수가 늘어났던 것으로 풀이된다.

KB부동산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지난해 초만 해도 8억6997만원이었으나, 거듭 상승해 지난해 말 10억4299만원까지 올라 대출 규제 제한선인 9억원을 훌쩍 넘어섰다. 25개 자치구 전역에서 전용면적 84㎡ 기준 10억원을 넘는 단지가 속출했다. 대출로도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집값이 올라 추격 매수가 주춤해졌다는 분석이다.

서울 집값 상승에 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이 경기, 인천 등 수도권으로 분산된 것도 거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 조사에서 지난해 서울의 순유출 인구수는 6만500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전출자의 65.4%가 인근 경기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이 줄면서 집값 상승 폭도 소폭 둔화하기 시작했다. KB부동산 조사에서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은 지난해 말 0.45%였으나, 1월 셋째 주 0.39%로 낮아진 뒤 지난주 0.38%로 둔화했다.

장재현 리얼투데이리서치 본부장은 "연말에 한차례 거래가 있었고, 이후 호가도 많이 오른 데다 3기 신도시 대기수요도 늘면서 거래가 다시 주춤해진 것으로 보인다"며 "매도자와 매수자의 기대 가격 간극이 커 당분간은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jhku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