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준 "군입대 보도, 누군가 사주한 악마의 편집"

이세현 온라인기자 plee@kyunghyang.com 2021. 1. 30. 14: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포츠경향]

가수 유승준이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병역 관련 억울함을 호소했다. 유승준 유튜브 채널 제공


가수 유승준(미국명 스티브 유)가 자신의 병역의무 회피 논란에 “악마의 편집”이라고 주장했다.

유승준은 지난 29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제는 말할 수 있다. 악마의 편집, 처음 군입대 설과 시민권 취득을 둘러싼 모든 의문들’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그는 “군 입대설 기사는 1999년 6월에 처음 나왔다. 그날따라 집 앞에서 기다리는 팬들이 없어 매니저가 저를 1층 로비에 내려다 놓고 퇴근했다”라면서 “엘리베이터를 기다리고 있는데 한 기자가 다가와 인사를 했다. 사석에서 말하듯 ‘이제 스무살 넘었는데 군대 가야지’라고 묻기에 ‘네, 나이가 되면 가야죠’라고 아무 생각 없이 대답했다”고 밀했다.

유승준은 이 대화를 토대로 자신의 ‘입대설’ 보도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시에는 미국 영주권자라 군대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지 않았다”면서 “그런데 다음날 ‘유승준이 미국 영주권을 포기하고 군 입대를 결심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왜 내가 그때 기자회견을 열어서 ‘아직 군입대 결정을 확실히 하지 않았고 영주권을 포기할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말하지 못했는지 후회스럽다”고 했다.

유승준은 해당 기자를 찾아가 정정보도를 요청했으나 이후로도 네 번에 걸쳐 자신의 입대 기사가 더 나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좋게 보려고 그래도 누구한테 사주를 받든지 아니면 청탁을 받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런 식으로 확실하지도 않은 정보를 (기사로) 낼 수 있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당시 영주권을 포기하고 군 복무 이후에 다시 미국 영주권을 받으려면 10년의 기다림을 반복해야 했다. 연예인이기 이전에 한 인간이라 내 가족을 선택했다”라면서 “여러분과의 약속보다 제 가족을 선택했다. 아들(유씨)이 한국에서 성공해 군대에 가겠단 걸 말린 아버지의 마음도 (지금 와서 보니) 충분히 이해가 된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지난달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자신을 겨냥한 ‘병역 기피 방지 5법’을 발의한 뒤 유튜브 채널을 통해 억울함을 호소하는 영상을 잇따라 게재하고 있다.

해당 법안은 국적법·출입국관리법·재외동포법·국가공무원법·지방공무원법 등 5개 법률개정안을 통해 병역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한국 국적을 이탈·상실했던 남성의 국적회복과 입국을 막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세현 온라인기자 plee@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