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캐프리오가 신은 운동화에 담긴 철학..文정부도 주목하는 ESG경영
친환경 특허 기술 및 원가·인건비 등 공개
패션업계, 노동자인권·장인정신으로 ESG경영
삼성패션연구소는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등장으로 일상의 모든 기준이 달라진 2020년이 담긴 '패션 산업 10대 이슈'를 발표했다. 그중 단연 눈에 띄는 것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는 '서스테이너블(sustainable) 패션의 도약'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지구와 환경을 넘어, 지속가능한 일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패션업계에선 '환경 파괴 없이 지속 가능한' 경영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지속가능성=친환경'이라는 일반 공식을 넘어, 사회와 경영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ESG 경영'에 주목하고 있다. ①환경(Environment)·②사회(Social)·③경영 방식(Governance)의 머리글자를 딴 ESG 경영은 기업 활동에 친환경, 사회적 책임 경영, 지배 구조 개선 등을 고려한 투명 경영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정부도 2030년까지 코스피에 상장한 전체 기업들을 대상으로 ESG 정보 공시·공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기로 했다. ESG 경영 시대가 활짝 열리고 있는 셈이다.
신발 한 짝에 담긴 ESG 경영...기술·원가 '공개'로 실천
최근 몇 년 사이 젊은 2030세대를 중심으로 소비에 대한 철학이 많이 바뀌었다. 비싸더라도 환경을 더 생각하고, 공정 무역을 하는 기업과 제품에 대한 가치 소비로 확산하고 있는 것.
그런 의미에서 할리우드 배우 리어나도 디캐프리오가 투자·광고하는 미국 친환경 신발 스타트업올버즈는 특별한 경영 방침이 손꼽히고 있다. 2014년 미 샌프란시스코에서 탄생한 이 회사는 모든 제품을 천연 재료와 재활용품만으로 생산하고 있는데, 최근 자신들만의 특허 기술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다른 기업들도 친환경 경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해 공짜로 기술을 제공하는 셈이다. 이는 올버즈의 두 창업자인 팀 브라운과 조이 즈윌링거, 개발자들이 수십 번의 실패를 거듭해 완성해 낸 제조 비법이다. 이 기업은 "더 많은 경쟁 기업들이 친환경 소재로 운동화를 만들기를 바라기 때문"이라고 기술 공개 이유를 밝혔다.
친환경 기업으로 알려진 미국의 패션업체 에버레인도 기업 정보 공개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에버레인은 나일론이나 폴리레스터 등 섬유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75%를 재활용 플라스틱에서 활용하고 있는데 올해까지 100% 대체할 계획을 가진 회사다.
칭찬 받아 마땅한데 더해 공정한 노동 환경을 제공하는 공장에서만 제품을 생산할 뿐만 아니라 원단 가격, 부자재, 인건비, 관세 등 모든 비용을 낱낱이 공개해 '트루 코스트(True Cost)'를 적어 둔다. 소비자들이 구매 가격과의 차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극단적 투명성'을 지향하는 것이다.
100%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렉스'를 개발한 기업 쌤소나이트는 일찌감치 ESG 경영에 앞장서고 있다. 2016년 첫 ESG 보고서를 발표했고, 110주년을 맞은 지난해에는 '책임 있는 여정'이라는 향후 전략도 내놓았다. 제품·에너지·공급망·인재경영 등 네 가지 영역에 집중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천한다는 계획을 드러냈다.
지속가능성의 두 다리...노동자 인권과 브랜드 가치
코로나19 이후 공정이라는 주제가 세계적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노동자 인권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일찍부터 노동자 인권을 위해 힘써왔던 패션업체 파타고니아는 지속가능한 가치를 추구하는 브랜드 철학으로 '길트-프리'를 어필하며 소비자들에게 관심 받고 있다.
미국공정무역협회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파타고니아는 협회가 인증한 제조 공장과 관계를 맺고, 수익 중 일부를 지원금으로 노동자에게 돌려주고 있다. 아울러 모든 공정무역 인증 제품에 대해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지원금으로 내놓고 있다. 직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가 유지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브랜드 가치에 대한 투자이기도 하다. 그래야 소비자들은 꾸준히 소비하고, 노동자들은 안정적으로 대우를 받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브랜드 가치에 투자하는 대표적 패션업계가 바로 명품 브랜드다. 1854년 창립한 루이뷔통은 노동자들의 장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는 브랜드 중 하나다.
우선 루이뷔통은 모기업인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 우수기술 직업 훈련원과 제휴를 통해 재능 있는 학생들에게 학비 면제 견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장인 정신뿐만 아니라 모든 기술적 관록을 홍보, 전승, 개발하고 있는 것.
루이뷔통 측은 "2010년 장인전문양성 교육기관인 '에꼴 데 사부아-페르'를 세워 전통 공예 기법부터 기술 혁신에 이르는 루이뷔통 고유의 노하우를 공식화 해 세대를 초월해 장인 정신이 꾸준히 전수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은영 기자 kis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름·번호 바꾸며 삶에 의지 드러냈는데... 가해자 선고 직전 극단 선택
- 대북 원전 '추진'은 안 했다는데... '검토'만 해도 문제 되나
- 시집 식구들의 따돌림, 창문으로 뛰쳐나가기까지
- "우직한 머슴처럼"...당적없는 '4선 군수' 비결은 민원수첩 78권
- 박지원 국정원장의 이례적 경고, 그것도 SNS로
- 여자는 왜 학대하는 남자를 떠나지 못했나
- 현대차-SK, 20조원 규모 전기차 배터리 동맹
- 효능 논란, 국수주의 비판…잡음 커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 반도체 슈퍼사이클 시작…'실탄' 넉넉한 삼성전자, M&A 후보는
- "文이 USB로 전달한 '발전소', 원전 아닌 신재생·화력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