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나·박 전쟁'..이번엔 제대로 한 판 붙을까

최형창 2021. 1. 30. 1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각각 당에서 최초 여성 원내대표 출신
17대 초선 동기 내리 4선도 역임도 같아
나경원 "몰염치"공세에 박영선 "갑이냐" 맞불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왼쪽)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연합뉴스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자주 비교된다. 17대 국회에 나란히 여야 비례대표로 입성한 두 후보는 20대 국회까지 내리 4선을 지냈다. 또, 각 정당에서 ‘여성 최초’ 원내대표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14년 박 전 장관이 먼저 새정치민주연합(민주당 전신)에서 원내대표를 지냈고, 2019년 나 전 의원이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에서 원내대표를 역임했다. 최근 화제가 된 한 종합편성채널 예능프로그램에도 한 주 간격으로 출연했다. 두 후보는 나란히 서울시장 출사표를 던졌다. 아직 당 내 경선을 치러야하지만 지지율에서는 각각 당 내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 벌써부터 서로를 향한 날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이른바 ‘나·박(나경원·박영선)전쟁’이 서막을 알리는 셈이다.

◆ 나경원의 선제공격…“정치인 박영선 몰염치”

불은 나 전 의원이 붙였다. 나 전 의원은 지난 18일 세계일보 인터뷰에서 “초선부터 같이 시작했는데 충분히 저는 그동안 쌓아왔던 경력이나 실력으로 서울시를 잘 구해낼 수 있다”며 “(박 전 의원과 붙는다면) 잘 할 자신이 있다”고 웃어 보였다.

박 전 장관이 지난 26일 공식 출마선언을 하자 나 전 의원은 기다렸다는듯 선제 공격을 개시했다. 나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고(故)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비위 사건 관련 박 전 장관의 언급이 없자 이를 지적했다. 그는 “차분하게 그 한마디를 기다렸습니다. 제가 기억하는 ‘정치인 박영선’이라면 조금은 다르지 않을까 생각했다”면서 “같은 여성이기에, 민주당의 책임 있는 정치인이기에 짧게라도 미안함을 전하지 않을까 기대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나 전 의원은 “결국 듣지 못했다. 박 후보는 진실을 회피했다. 피해자의 고통을, 시민의 분노와 실망을 차갑게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후보로 나서는 것만으로도 몰염치다. 그런데도 기어이 나서셨다면, 어찌 ‘그 사건’을 모른 척 할 수 있는단 말인가”라며 “일말의 책임감과 미안함이 전혀 들지 않으십니까. 민주당 4선 국회의원을 지냈고 민주당 정권의 장관까지 지낸 후보로서, 짤막한 유감 표명도 그렇게 어렵고 힘든 것이었는지 씁쓸하다”고 공세를 폈다. 박 전 장관이 공식출마 선언한 날 마치 기다렸다는듯 나 전 의원이 잽을 날린 셈이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8일 오후 서울 구로구 의료영상정보 솔루션 기업인 인피니트헬스케어를 방문, 직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박영선 “야권 후보님 갑의 위치에서 명령하나”

박 전 장관은 지난 26일 JTBC 인터뷰에서 “상처받은 분이 그동안 얼마나 마음속에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행동하는 것 그 자체가 자기 스스로의 고통이라고 저는 생각한다”며 “(민주당이) 당연히 사과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사과가 더 필요하면 저는 피해자, 상처받은 분의 마음을 어떻게 보듬어드릴 수 있는 방법이라면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야 된다”고 입장을 표명했다. 이어진 27일 KBS라디오 인터뷰에서도 “민주당이 상처받은 분에게 사과해야 할 방법이 있으면 할 수 있는 만큼 다해야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28일에는 나 전 의원에 대한 공세로 전환했다. 박 전 장관은 “최근에 야권 후보님을 보면 마치 갑의 위치에서 명령하듯 이야기를 하더라”라며 “후보자 간 그런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박 전 시장 성비위 사건)와 관련해서 저는 이미 입장을 밝혔다. 저의 이야기를 들어보시고 그런 말씀을 하시는 것이 순서가 아닌가 이렇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나 전 의원을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박 전 장관은 “한 가지 야권 후보들에게 아쉬운 점은 대안 없는 분노, 그리고 서울을 정치 경쟁화하는 그런 이야기들만 많이 하신다”라며 “그것은 서울의 발전과 서울의 미래를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나 전 의원뿐 아니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을 묶어서 한꺼번에 공세를 편 셈이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 선언을 한 국민의힘 나경원 전 의원이 27일 오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를 찾아 노후시설 등을 살펴본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2007년 부터 이어져 온 ‘악연’ 어떻게 풀릴까

‘나·박’의 인연은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선 정국이었던 당시 박 전 장관은 `BBK 저격수`라는 별명을 얻어가며 이 전 대통령을 공격했다. 이명박 대선후보 대변인을 맡았던 나 전 의원은 `BBK 의혹`과 관련해 “주어가 없어서 사실이 아니다”라고 해명해 두고두고 회자됐다. 

나 전 의원은 2018년 12월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됐다. 이듬해 4월 박 전 장관은 중기부 사령탑에 취임했다. 박 전 장관은 그해 7월 당시 야당 원내대표였던 나 전 의원을 예방했다. 당시 둘은 뼈있는 말도 주고 받았다. `야당의 대(對)정부 비판`에 대해 박 전 장관은 “야당 원내대표가 참 쉽지 않은 자리인데, 지속적인 비판이 꼭 승리로 연결되는 것 같진 않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감동이 있느냐’에 국민들께서 방점을 많이 찍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당의 정부 비판 방식에 대해 우회적으로 훈수를 둔 격이었다. 박 전 장관은 “(정부가) 잘하는것은 ‘잘한다’고 말씀해주시면 좀더 훌륭한 원내대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조언했다.

나 전 의원은 “전적으로 공감한다. 결국 저희 비판이 국민에게 공감되는 이야기하는게 중요하지 않느냐”면서도 ”국민들과 공감되는 이야기, 국민들이 하고픈 말을 대신 해주는 것이 야당이 해야 될 일”이라고 맞섰다.

2011년 오 전 시장이 사퇴하면서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졌을 때 ‘나·박’은 모두 출격했다. 나 전 의원은 한나라당 후보로 선출됐고, 박 전 장관도 민주당 후보로 뽑혔다. 하지만 박 전 장관이 박 전 시장과 단일화 결과 패배하면서 둘 의 서울시장 선거 맞대결은 성사되지 않았다. 당 내 경선을 뚫어야하지만 현재 상황에서 두 후보는 당 내 유력주자임에 틀림없다. 여야 대표 여성 정치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두 후보가 이번에는 숙명의 대결을 펼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형창 기자 calling@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