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점입가경 '나랏빚 궤변', 유권자가 두 눈 부릅떠야

2021. 1. 30. 00: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급증하는 나랏빚에 대한 경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국가부채 증가를 옹호하는 듯한 여권 정치인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그 과정에서 불요불급한 지출은 줄이고 국가부채 증가도 최소화하는 것은 기본적 재정원칙이다.

이를 정당화하려고 "국가부채 늘려 가계부채 증가 막자"는 궤변을 늘어놓는 것이다.

지난해 국가부채는 820조원을 넘어섰고 내년에는 10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급증하는 나랏빚에 대한 경고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국가부채 증가를 옹호하는 듯한 여권 정치인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번주 목요대화에서 “가계부채가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국가가 조금 더 부채 규모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이재명 경기지사는 “외국 빚에 의존하지만 않는다면 정부의 적자는 곧 민간의 흑자이고, 나랏빚은 곧 민간의 자산”이라며 국가부채 확대를 주장한 바 있다.

여권에서 이 같은 발언이 이어지는 이유는 자영업 손실보상, 이익공유제, 재난지원금 등 코로나 지원책이 4월 재·보궐선거와 내년 대선을 겨냥한 ‘표(票)퓰리즘’이라는 비판을 의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천문학적으로 나랏빚을 늘리는 현금 살포가 큰 문제가 없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정부가 빚을 내서라도 코로나19 피해 국민을 지원해야 한다는 데 적잖은 사람이 동의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피해가 큰 국민에게 집중적으로 지원하느냐다. 그 과정에서 불요불급한 지출은 줄이고 국가부채 증가도 최소화하는 것은 기본적 재정원칙이다. 그런데 지금 여권은 재원은 뒷전이고 퍼주고 난 뒤 모자라면 빚을 내자는 식이다. 이를 정당화하려고 “국가부채 늘려 가계부채 증가 막자”는 궤변을 늘어놓는 것이다. 하지만 국가부채 증가는 자칫 국가신용등급 하락, 자본 유출로 이어져 경제에 엄청난 타격을 줄 수도 있다.

지난해 국가부채는 820조원을 넘어섰고 내년에는 100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채무 비율은 지난해 43.9%로 마지노선으로 여겨지는 40%를 넘었고 올해는 47.3%, 내년엔 50%도 넘을 전망이다. 적자국채 발행액은 지난해 102조원으로 과거 평균의 다섯 배에 달했고 올해도 지금까지 벌써 94조원이 예정돼 있다. 올 한 해 국채 이자비용만 20조원이 넘을 전망이다. 빚을 갚기 위해 빚을 내는 게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런데 “나랏빚은 곧 민간의 자산”이라는 해괴한 논리가 난무한다. 오죽하면 진보단체인 사회진보연대까지 “선거 승리를 위해 늘리는 국가부채는 가장 질이 나쁘다”고 비판하겠나. 유권자들이 그 어느 때보다 눈을 똑바로 떠야 할 것 같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