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나의 세상은 '누더기'가 아니었다 [책과 삶]
[경향신문]
열두 살의 모자이크
황선미 지음·남수 그림
창비 | 160쪽 | 1만800원
“넌 나를 뭐라고 생각하니.” 초등학교 5학년, 그러니까 고작 십여년이 생의 전부인 아이들이 서로 묻고 답한다. “넌 빨강, 빨간 석류처럼 반짝거리거든”, “넌 비닐봉지, 뭘 생각하는지 다 보이니까”. 대답에 따라 까르륵 소리가 나기도 하고 울음이 터지기도 한다. 하지만 이 말장난은 애들한테 그저 재미난 놀이였다. 단 한 사람, 제나만 빼고.
“누더기.” 제나는 듣고 말았다. 두 친구의 귀엣말이었지만 똑똑히 들었다. 은지가 아무래도 소문을 낸 것 같다. 북한에서 왔다고. 제나의 엄마는 탈북민이고 아빠는 중국인이다. 그래서 엄밀히 따지면 제나는 북한에서 온 것도, 중국에서 온 것도 아니다. 담당 형사 아저씨 표현법으론 ‘중도 입국자’다. 사실 제나는 이도 저도 다 싫다. 그저 오롯이 ‘엄마의 딸’이고 싶다. 제나는 성당의 시설에, 친아빠의 옥수수 농장에 그렇게 두 번 버려졌다. 아니 엄마가 버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같이 있는 지금도 엄마는 애증의 대상이다. 살갑지 않은 엄마, 전화마저 공포스러운 친아빠, 엄마를 괴롭히는 새아빠의 엄마, 그리고 “어른들 걱정시키지 말라”는 선생님까지. 제나에게 어른들이란 구름 낀 하늘 같은 그런 존재들이다. 그런데 콩 사장과 콩 여사는 달랐다. 학교를 땡땡이치고 무작정 올라탄 버스의 종점 마을 두부집에서 만난 할아버지, 할머니다. 구멍난 호주머니 하나에도 ‘깔깔깔’ 즐겁고 나를 ‘아가’라고 불러준 최초의 어른들. 제나는 훗날 두부집으로 진짜 가출을 감행한다.
<열두 살의 모자이크>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쓴 황선미 작가의 새 장편동화다. 마당 밖이 험난해도 마냥 나쁜 세상만은 아니었듯, 제나의 세상도 실은 조각조각 누더기가 아니라 형형색색 엮인 모자이크였다.
임지영 기자 iimii@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법원, 박정훈 대령 보직해임 집행정지 신청 기각
- 홍준표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민주당이 죽 쑤는데도 국민의힘이 밀리고 있어서 유감”
- [항저우AG] 태극마크 달고···권순우, 매너를 팽개쳤다
- 박근혜 “탄핵 수사팀 검사들 윤석열 정부 요직에···유승민 공천 명시적으로 말한 적 없어”
- 이재명, “옥중 출마·결재 해라” 유시민 영상에 ‘좋아요’ → 취소
- “홍범도 흉상 1cm도 움직이지 못하도록 싸울 것” 육사로 행진한 시민들
- 2차 방류 임박한 원전 오염수서 세슘 등 검출…ALPS 한계 ‘재확인’
- 한동훈, 무엇이 중한가 ‘셀럽 놀이’? 인사검증?[김민아 칼럼]
- ‘이재명 체포동의안 가결’ 마냥 달갑지 않은 국민의힘, 왜?
- 북한 최선희, 1300만원짜리 구찌백... 현송월은 만원짜리 중국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