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전세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2차 세계대전 수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전세계 각국 정부들이 대규모 코로나19부양책을 시행하면서, 세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비율이 98%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부채비율과 맞먹는 수준이다.
28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IMF)의 분기별 재정 보고서를 인용해 전세계 국가의 GDP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2019년 84%에서 작년 12월 말 98%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세계 각국 정부들이 대규모 코로나19부양책을 시행하면서, 세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부채비율이 98% 수준에 이르렀다. 이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부채비율과 맞먹는 수준이다.
28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국제통화기금(IMF)의 분기별 재정 보고서를 인용해 전세계 국가의 GDP대비 공공부채 비율이 2019년 84%에서 작년 12월 말 98%로 급증했다고 보도했다. 전세계 정부의 공공부채 총액은 지난해 말 89조 6000억 달러(약 8경 9600조원)에 달했다.
특히 저금리로 쉽게 부채를 차입할 수 있는 선진국에서 증가폭이 컸다. 선진국의 GDP대비 부채 비율은 2019년 105%에서 지난해 12월까지 123%로 올랐으며, 올해는 125%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IMF는 보고서에서 정부가 너무 빨리 지출을 줄이기 시작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하면서도, 각국 정부들이 재정 건전성을 유심히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규모 부양책이 적절한 때에 중단되지 못하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IMF 재정 총괄 빅터 가스파 이사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세계에서 모두 통제되기 전까지는 통제할 수 없다"며 "빠른 코로나 사태 해결이 경제회복을 위한 가장 빠른 길일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수출 유망주, 스마트팜]② ‘월급쟁이 농부’ 시스템 구축한 드림팜… 수출에도 ‘날개’
- [지방소멸 막으려면]③숨막히는 회색 도시 벗어나, 부산 바다 보며 누워서 일한다
- [사이언스카페] 노벨상 받으려면 연구비 몰아주기보다 다수에게 나눠라
- [미래 지킬 K무기] 시속 2200㎞·무기 7.7t 탑재… ‘한국형 전투기’ KF-21
- [미래 지킬 K무기] 특공대 기관단총 40년 만에 교체… 레고처럼 조립 가능
- “엄마, 나도 저거 사줘” 산리오 굿즈 열풍에 웃는 유통가
- 16기 영숙, 이렇게 핫했나…상철과 투샷 이어 교동 달군 미모
- ‘의사♥’ 이정현, 명절 스트레스? 여유로운 해외여행 “경기도 다낭시”
- [차세대 유니콘](23) AI로 식물 질병 진단해주는 그루우… 권휘광 대표 “화훼·원예 시장서 플랫
- [비즈톡톡] 김치 브랜드 ‘종가’가 명품처럼 앰배서더를 기용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