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작년 영업益 5조126억원..전년比 84%↑(종합)

박진우 기자 2021. 1. 29. 07:4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0년 매출 31조9004억원…전년대비 18% 증가
4분기 매출 7조9662억원, 영업이익 9659억원

SK하이닉스는 29일 공시를 통해 2020년 연간 매출 31조 9004억원, 영업이익 5조126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각각 18%, 84%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률도 전년대비 6% 포인트 증가한 16%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전경. /SK하이닉스 뉴스룸

노종원 SK하이닉스 경영지원 담당 부사장(최고재무책임자·CFO)은 "지난해 글로벌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무역 갈등의 격화로 메모리 시장은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면서 "그 가운데 SK하이닉스는 10나노급 3세대(1z) D램과 128단 낸드플래시 등 주력 제품을 안정적으로 양산했다"고 했다. 이어 노 부사장은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서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당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각각 18%, 84%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 9662억원과 9659억원, 영업이익률은 12%로 집계됐다. 회사 관계자는 "가격 하락에 따른 매출 감소와 달러화 약세에도 불구하고 3분기부터 이어진 모바일 수요 강세에 적극 대응해 전년 동기 대비 298% 증가한 영업이익을 달성했다"고 했다.

제품별로 살펴보면 D램의 경우 출하량은 전분기(2020년 3분기) 대비 11% 늘었고, 평균판매가격(ASP)은 7% 떨어졌다. 낸드플래시의 출하량은 8% 증가했으며, 평균판매가격은 8% 하락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D램 시장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의 신규 데이터센터 투자로 서버용 제품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봤다. 코로나19로 주춤했던 5G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로 모바일 수요 역시 높게 유지될 것으로 봤다. 반면, 업계의 공급량 증가는 제한적인 것으로 예상하면서 수요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낸드플래시 시장은 모바일 기기의 고용량 제품 채용 증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수요 강세와 맞물려 업계 전반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해온 재고가 상반기 해소되면서 하반기부터 시황이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SK하이닉스는 이런 수요 환경에 적극 대응하고, 동시에 전략 제품 매출 비중을 확대하며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D램은 고성능컴퓨팅(HPC), 인공지능(AI) 시스템 시장의 성장에 따라 초고속 D램인 ‘HBM2E’ 등 고부가 제품 출하 비중을 늘려갈 계획이다. 낸드플래시는 128단 서버용 SSD 고객 인증을 추진하는 등 제품 다각화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기존 제품과 비교해 생산성을 개선한 10나노급 4세대(1a) D램과 176단 4D 낸드플래시를 연내 생산해 원가 경쟁력을 높여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올해부터 파이낸셜 스토리(Financial Story) 실행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파이낸셜 스토리는 지난해 10월 발표된 것으로 D램과 낸드플래시 사업의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화해 인류와 사회에 기여한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회사는 10조원 규모의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M16 신규 팹을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등 미래성장 기반을 적극적으로 구축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ESG 경영위원회를 신설,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전략을 논의한다. 앞서 SK하이닉스는 RE100(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100% 사용 선언)에 가입하고, 친환경사업 투자 용도의 그린본드를 발행하는 등 ESG 경영 강화 의지를 보였다.

SK하이닉스는 주당 배당금을 1170원으로 결정했다. 주당 배당금은 1000원을 최소 금액으로 고정하고 여기에 연간 창출되는 잉여현금흐름의 5%를 추가로 지급한다는 기존 배당 정책에 따라 정해진 것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