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헬스케어타운 바이오 헬스 중심지 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가 코로나19 등 팬데믹에 대응할 산업기반을 제주헬스케어타운에 조성하겠다고 밝힌 이후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JDC(이사장 문대림)와 제주대학교(총장 송석언), 위성곤 국회의원은 28일 제주대 총장실에서 서귀포시를 바이오 헬스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JDC(이사장 문대림)와 제주대학교(총장 송석언), 위성곤 국회의원은 28일 제주대 총장실에서 서귀포시를 바이오 헬스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골자는 제주헬스케어타운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실제로 세 기관의 협약에는 △헬스케어타운 내 약학대학 활용 강의실, 실험실 제공 노력 △헬스케어타운 내 바이오 헬스 기업 공간 마련 △연구기관 및 바이오 기업들의 입주 및 운영 제도개선 지원 등이 담겼다.
또 △헬스케어타운 내 약학 관련 기반시설을 활용한 수업과 실습 진행 △헬스케어타운 내 약학대학 관련 학술대회, 세미나, 심포지엄 등 개최 노력도 포함됐다.
문대림 JDC 이사장은 "협약을 계기로 제주헬스케어타운이 의료기능뿐만 아니라 바이오 헬스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며 "산·학·연·관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바이오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위성곤 의원은 "서귀포시를 바이오헬스 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힘을 모아준 JDC와 제주대학교에 감사하다"며 "서귀포가 미래의 먹거리를 갖춘 경쟁력 있는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송석언 제주대학교 총장은 "제주지역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과 발전뿐만 아니라 제주대 약학대학 등 바이오 헬스 관련 분야의 연구 역량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과 함께하는 대학이 되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약은 위성곤 의원이 지난해 4월 총선에서 서귀포를 바이오 헬스 산업의 중심지로 키워나가겠다고 공약하면서 구체화됐다.
지난해 5월 개최된 '서귀포 바이오·생약 메카 육성을 위한 제1차 정책간담회'에서 헬스케어타운을 활용한 서귀포의 바이오 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제주헬스케어타운은 의료관광 활성화를 목적으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귀포시 동홍동과 토평동 일대 153만 9339㎡에 조성되고 있는 복합의료관광단지 개발사업이다.
2006년 제주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프로젝트로 선정된 이후 핵심사업인 의료서비스 시설 도입 차원에서 녹지국제병원이 '내국인 진료제한'을 조건으로 개설 허가를 받았지만 정당한 이유없이 개설허가 뒤 3개월 이내 진료를 개시하지 않아 2019년 4월 개설허가가 취소됐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제주CBS 이인 기자] twoman@cbs.co.kr
저작권자ⓒ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CS 학생은 '음성' 가족은 '양성'…감염경로 오리무중
- 광주 TCS 국제학교 관련 광주 안디옥 교회 폐쇄…31명 확진
- 코로나 1년, 보건의료제도 신뢰↑…"공공의료 확대해야"
- 정의당 "장혜영, 그래서 뭘 했다는 거야? 전형적 2차 가해"
- 초유의 백신 수송작전, 軍이 콜드체인·방호 감독한다
- 코로나 속 '만취 운전' 육군 부사관, 고속도로서 추돌사고
- 암센터 서홍관 원장 "담뱃값 8000원, 최고의 금연정책"
- 전남서 광주 TCS 국제학교발 확진 잇따라… 누적 743명
- 정총리, SK-LG 배터리 소송에 일침 "남 좋은 일만 시켜"
- 내달 수도권 의료진부터…하반기 全국민 백신접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