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승 "한국사회 불평등의 기원과 해법 찾아보려 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에서 한국인만큼 협동과 협업을 잘하는 사람들이 없다. 또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람들도 없다. 이게 어떻게 위계와 연결됐는지 또 이 사회의 불평등과 어떻게 연결됐는지 알고 싶었다." '불평등'을 키워드로 우리 사회를 연구해나가고 있는 이철승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가 신간 '쌀, 재난, 국가'를 내놨다.
이철승 교수는 지난 26일 서울 정동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책을 소개하며 "책 제목인 '쌀, 재난, 국가'는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단어들인데 그 밑에 깔린 깊은 구조를 보고 싶었고 거기서 발생하는 불평등이 한국 사회에 얼마나 독특하게 발현되는지 답하고 싶었다"며 "결국 이 책은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이번 책은 향후 몇 년간 다룰 '동아시아 국가의 불평등과 위계구조'에 대한 첫 책"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평등'을 키워드로 우리 사회를 연구해나가고 있는 이철승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가 신간 '쌀, 재난, 국가'를 내놨다. 지난 2019년 펴낸 '불평등의 세대' 이후 2년만에 다시 우리 사회의 불평등의 구조를 살펴보는 책이다. 전작이 '세대'라는 키워드를 통해 한국 사회의 위계 구조가 어떻게 세대와 맞물리며 불평등을 야기해왔는지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흥미롭게 펼쳐 보였다면, 이번 책은 제목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 불평등의 기원을 따져 올라간다.
이철승 교수는 지난 26일 서울 정동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책을 소개하며 "책 제목인 '쌀, 재난, 국가'는 한국인들에게 익숙한 단어들인데 그 밑에 깔린 깊은 구조를 보고 싶었고 거기서 발생하는 불평등이 한국 사회에 얼마나 독특하게 발현되는지 답하고 싶었다"며 "결국 이 책은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이번 책은 향후 몇 년간 다룰 '동아시아 국가의 불평등과 위계구조'에 대한 첫 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교수는 "우리는 동아시아라는 생태적 환경에서 살아남으려 애쓴 사람들의 후손"이라며 "태풍 등 수많은 재난 속에서 밀에 비해 키우는데 손이 많이 가는 먹거리 '쌀'을 생산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해왔고 반복해서 살아오면서 습속이 생겼고 계급과 사회제도에 녹아들어갔으며 사회와 국가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는데 어쩌면 너무도 당연시 해오던 것들이 지금의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생각에 이를 되짚어보고 바꿔나가야 할 것들을 바꿔보자고 환기시키려 이 책을 썼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결국 저의 가장 궁극적인 관심은 청년 실업에 있다"며 "과거를 되짚어가면서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연차 중심의 서열과 연공제의 문제점을 짚어내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숙련을 측정하는 방법, 장인을 중시하는 문화를 만들수 있을까에 대한 제 나름 개혁을 위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클럽에서 만나 속도위반 결혼, 신혼여행 후 남편이..
- 혼인신고 때 알게 된 충격 사실, 남친은 9년 전에...
- "합기도 관장이 나를 눕히더니.." 초등생의 충격 메모
- 머리 새하얘진 男배우의 고백 "친구 사망 이후에.."
- 생활고 호소 여배우 목격담, 강남 주점서 능숙하게...
- 부안 변산반도 하섬에 브라이드 고래 사체…멸종위기종
- 1020세대가 심상치 않다, 이러다가 대한민국이...
- 6년간 공사판 떠돈 男, 악착같이 돈 모은 이유는...
- 女후배에 호감있던 선배, 집 현관문 앞에서 몰래...
- 차량 지키러 나간 남편, 눈앞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