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재난지원금, 피해 큰 곳에 선별 지원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에 대해 선별적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자영업자 손실보상 제도화와 관련해 바우어 단장은 "대부분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영업자들은 명확하게 코로나19 피해가 큰 대상"이라며 "한국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대비 자영업자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코로나19 같은 큰 충격이 있을 때 자영업자에게 이전지출하는 것은 여러 모로 말이 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에 대해 선별적 지원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자영업 손실보상 제도화는 바람직하지만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봤다.
안드레아스 바우어 IMF 한국미션 단장 겸 아시아태평양 부국장은 28일 화상으로 열린 ‘2021년 IMF 연례협의 결과’ 브리핑에서 “코로나19로 인한 회복이 불균등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재정 조치들은 피해가 더 많이 발생해서 회복이 더딘 부문에 집중돼야 한다”고 말했다.
바우어 단장은 “피해가 큰 부문에 선별적 지원을 했을 때 소비 진작이나 성장 도모 효과가 가장 크다”면서 “이런 방식으로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재정건전성 확보 측면에서도 유용하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 손실보상 제도화와 관련해 바우어 단장은 “대부분 개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영업자들은 명확하게 코로나19 피해가 큰 대상”이라며 “한국은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대비 자영업자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코로나19 같은 큰 충격이 있을 때 자영업자에게 이전지출하는 것은 여러 모로 말이 된다”고 했다.
다만 그는 “다른 국가의 경험을 보면 자영업자의 소득이나 매출 정보 파악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고 정보가 제공되더라도 꾸준하기보다 때때로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깊이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자영업자 손실보상 제도화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깊이 연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박효정 기자 jpark@sedaily.com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치솟는 강남 전세…강북 팔아도 8학군 셋집 못 구한다
- 1억 뛴 집값에 놀라 '머리 깨졌다?' 기안84 부동산 풍자에 또 네티즌 '갑론을박'
- 담뱃값 8,000원 시대 임박…정부, 술·담뱃값 줄줄이 올리려는 이유는?
- 후쿠시마 원전서 '초강력' 방사선 방출…노출시 1시간내 사망
- '어디 공직자한테 대들어'…차 빼라는 건물주 협박한 9급공무원
-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전세 대란… '벼락거지'가 된 심정'[관점]
- 역대 최대 이익으로 질주 채비 갖춘 기아…신형 전기차 3월 공개
- [단독]'혹하는 마음에 땅 샀다 빚쟁이'…연소득 2천 이하 3명 중 1명
- KBS 수신료 月 3,840원으로 오르나
- 이재명, 윤석열과 대선 양자 가상 대결서 우위…李 45.9% vs 尹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