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형 흑자'로 버티는 카드사, 10년후 살아남을 수 있을까

김세관 기자 2021. 1. 28. 05: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무한경쟁의 장(場), 생존기로 카드사]

[편집자주] 지난해 발생한 코로나19(COVID-19)라는 전대미문의 글로벌 대재앙이 우리 경제를 위축시키고 항공, 여행, 면세점 등 관련 업권에 피해를 줬다. 그럼에도 외견상 카드사들의 실적은 순항중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인력구조 조정과 영업점포 정리, 마케팅 비용 절감 등 마른 수건 짜내기식 비용 절감의 결과일 뿐이다. 카드사의 위기와 그에 따른 생존경쟁은 현재진행형이다.

카드사들이 더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경제의 마이너스 성장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지난해와 같은 ‘불황형 흑자’ 형태로 회사를 지탱할 수는 없다고 보는 것이다. 여기에 네이버와 카카오 등으로 대표되는 빅테크(IT대기업)의 금융업권 침공도 예사롭지 않다. 올해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과 오픈뱅킹, 마이페이먼트(지급지시서비스업), 종합지급결제업 등 디지털 금융이 시작되면 카드업의 영역은 더욱 줄어든다.
주요 수익원 잃었는데 빅테크까지 경쟁 가세
카드사들에게 가장 힘든 것은 주요 수익원이었던 카드 가맹점 수수료 비율이 최고 4.5%에서 0.8~1.6%까지 내려간 것이다.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은 시장 상황이 중요하게 고려돼 결정돼야 한다. 그러나 소상공인을 의식한 정치권의 입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쳐 현재의 수수료로 정해졌다. 다시 과거처럼 올릴 수는 없다.

이는 전통적인 카드업을 통해서 수익을 낼 수 없는 구조가 고착화 됐다는 의미기도 하다.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이후 카드사의 신판 이익이 얼마나 줄었는지를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자료는 공개된 적이 없다.

다만 2019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 등 7개 전업카드사의 결제 부문 세전이익 추정치로 미루어 짐작해 볼 수 있다. 2016년 4000억원, 2017년 3000억원 흑자를 냈지만 2018년과 2019년 모두 1000억원의 적자로 돌아섰다. 2020년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카드 결제 매출을 나타내는 카드사 가맹점 수수료수익도 지난해 상반기 기준으로 전년 동기보다 945억원이 준 것으로 확인됐다.
사람 줄이고, 점포 줄이고, 판관비 줄여서 낸 실적
지난해 3분기 BC카드까지 포함한 8개 카드사 누적 당기순이익은 1조6909억원으로 1년 전보다 24.8%가 증가했다. 카드사가 신용카드 영업으로 실적을 내기 어려운 환경에서 당기순이익을 잘 낸 건 비용절감 덕분이다.

최근 2년간 건물 임대료와 인건비, 관리비 등을 줄이기 위해 100여개의 전국 카드사 영업점포가 문을 닫았다. 2016년 한 때 2만2000명을 넘기도 했던 카드 모집인은 최근 1만명선이 붕괴됐다. 모집인 뿐만 아니라 카드사 임직원 수도 꾸준히 줄고 있다. 2002년 2만6000명에 달했던 카드사 임직원 수는 지난해 6월말 기준 1만2000명 수준으로 쪼그라 들었다.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에도 1만4000명이었다. 최근 카드 업계의 인력 조정 노력이 어느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카드사들이 잘나가던 시절 출혈경쟁을 단적으로 보여줬던 마케팅비 증가율도 감소 추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16년 10.8%, 2017년 13.7%, 2018년 10.3%로 두자릿수를 유지하던 마케팅비 증가율이 2019년 6.6%로 내려갔고 지난해 1분기 4.2% 증가에 그쳤다. 이 같은 결과로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2018년 8조6000억원이었던 카드사들의 카드 부문 비용이 2019년 8조4000억원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7조9000억원에 그쳤을 것으로 추산했다.

문제는 이 모든 것이 미래의 매출과 수익기반을 갉아 먹는다는 점이다. 인력을 감원하고 영업과 마케팅을 안 하는 축소지향적 방식으로 성장은 불가능하다.
신성장동력 발굴 절실한 카드사…디지털금융으로 돌파?
물론 비용절감만이 양호한 카드사 실적의 전부는 아니라는 점은 그나마 긍정적 요소다. 그동안 부수적인 업무로 여겼던 카드대출과 자동차금융에서 카드사 대부분이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점도 기회요인이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카드론 이용액은 25조4000억원으로 2019년 상반기말 대비 2조4000억원(10.5%) 늘었다. 대부분이 자동차 관련인 카드사 할부금융 손익도 지난해 9월말 기준 176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8% 증가했다.

적극적으로 동남아시아에 진출한 카드사의 지점들도 서서히 이익을 내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하나카드가 올해 자동차 할부 금융 시장에 진출하고, 롯데카드도 사업포트폴리오에 없던 리스 사업을 시작한 이유도 결국 해당 영역이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모델이란 걸 경쟁 카드사들이 보여줬기 때문이다.

더욱이 올해는 금융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디지털금융 원년이다. 마이데이터 사업이 시작되고 카드사가 오픈뱅킹에 들어가 종합지급결제업자로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길도 트인다. 디지털 금융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빅테크 뿐만 아니라 시중은행 등 금융업권 전체와 무한경쟁을 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대출·자동차금융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디지털 금융에 걸맞은 신사업 영역에서 카드사의 장점을 십분 발휘할 역량을 길러야 하는 상황인 셈이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신용카드사라는 이름을 걸고 있는 업체들의 10년 후 사명이 현재와 같을 것이란 장담을 하기 어렵다”며 “갈수록 악화되는 카드 결제 수익 구조와 결제기술의 발달을 고려하면 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개척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티켓값만 606억원…'민간 우주관광' 떠나는 3명은 누구?'40세' 킴 카다시안, 밀착 원피스에 드러난 '볼륨 몸매'길에 버려진 갓난아기 구한 美택배기사…"최고의 배달"윤서인, BJ감동란에 '술집X' 루머 유포…핑계뿐인 사과박은석 2차 사과 "강아지 파양 맞다, 잘못 인정…죄송"
김세관 기자 son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