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이은봉의 의학 연구 다이제스트] 뇌에 무리 주지 않는 ‘적당한 음주’의 기준? “하루에 소주 딱 한 잔”
알코올 중독은 건강에 명확히 나쁘지만, 음주를 적당히 할 경우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이 있다. ‘프렌치 패러독스’라고, 적당한 음주는 심장병 위험을 오히려 줄여준다는 연구도 있었다.
얼마 전 적당한 음주를 장기간에 걸쳐 하는 경우, 치매 주 증상인 인지 기능 저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논문이 영국의학회지에 실렸다. 연구는 영국인 550명을 대상으로 알코올 섭취 정도를 30년간 관찰 기록했다. 치매와 직접 관련된 뇌 해마 부위의 위축 정도를 MRI(자기 공명 영상) 검사로 객관성 있게 측정했고, 인지 기능 변화도 조사했다. 연구 시작 때 대상자들 평균 나이는 43세였고, 남자가 약 80%였다.
연구 결과 알코올 섭취가 많을수록 뇌 해마 위축이 심했다. 일주일에 30유니트(1유니트는 맥주 250cc 또는 소주 한 잔)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경우 금주 그룹보다 뇌 해마 위축 정도가 5.8배 높았다. 일주일에 20유니트 정도만 음주해도 3.4배 높았다. 일주일에 7유니트(소주 7잔에 해당) 이하로만 음주하는 경우는 금주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의 변화를 보였다. 인지 기능인 어휘 구사력은 알코올 섭취량에 비례해서 나빠졌다.
알코올 및 알코올의 대사물은 직접적인 신경 독성이 있다. 이 외에 티아민·엽산 부족, 간 손상 등 다양한 요인이 뇌 해마를 위축시킬 수 있다. 인생에 알코올이 특히 해로운 시기가 세 번 있다. 엄마 배 속 태아기, 청소년기 그리고 65세 이후 노인기다. 치매 없는 건강한 노년 삶을 원하면, 술은 매일 한 잔 이하로 마시는 게 안전하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inute to Read] Ex-President Moon indicted in bribery case tied to son-in-law’s hiring
- ‘금녀’ 관례인데 수녀가 교황 관 앞에…알고 보니 감동 사연
- [모던 경성]‘과학조선’의 개척자들⑬ ‘한국의 파브르’조복성
- 대통령·할리우드 스타도 찾는 곳…도심 속 ‘숲’에서 프라이빗하게 힐링
- 프란치스코 교황 조문 끝내고 관 봉인…3일간 25만명 찾아
- 동해안 자연산 복어로 끓인 복 맑은탕, 한 그릇에 7700원 초특가
- 카이스트 교수가 개발해 대박난 탈모 샴푸, 최대 90% 탈모 감소 확인
- [이별전쟁] 완벽한 남편인 줄 알았는데... 결제 내역은 온통 ‘모텔’
- 45도 내외로 매일 암막 눈찜질, 눈 건강에 온 변화
- [오늘의 날씨] 2025년 4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