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압박에 결국.. 앤트그룹, 금융지주사 사업개편안 제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 알리바바그룹 산하 핀테크(금융 기술) 기업인 앤트그룹이 당국의 압박에 못 이겨 결국 금융지주사가 되겠다는 내용의 사업개편안을 제출했다.
WSJ은 앤트그룹이 제출한 사업개편안이 확정되면 금융지주사로 막대한 자본금을 납입하는 등 규정을 지켜야 하며, 수익과 성장이 제한돼 기업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알리바바그룹 산하 핀테크(금융 기술) 기업인 앤트그룹이 당국의 압박에 못 이겨 결국 금융지주사가 되겠다는 내용의 사업개편안을 제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현지 시각)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WSJ은 앤트그룹이 제출한 사업개편안은 류허(劉鶴) 부총리가 이끄는 금융안정발전위원회(FSDC) 검토를 거쳐 설 연휴 이전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금융지주사가 되면 금융당국의 엄격한 관리·감독을 받을 의무가 있다. 앤트그룹은 당초 자회사 중 하나를 금융지주사로 만들어 금융 자회사를 지배하는 대신, 모회사 앤트그룹은 규제에서 자유로운 IT 기업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기업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였다.
이 같은 청사진을 바탕으로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은 앤트그룹을 상하이와 홍콩 증시에 상장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사상 최대규모인 약 340억달러(약 38조원)를 조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금융지주사로 운영할 경우 이같은 목표의 수정은 불가피하다고 WSJ은 분석했다. WSJ은 앤트그룹이 제출한 사업개편안이 확정되면 금융지주사로 막대한 자본금을 납입하는 등 규정을 지켜야 하며, 수익과 성장이 제한돼 기업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이 예상된다고 했다.
앤트그룹의 상장 계획은 마윈이 지난해 10월 공개석상에서 보수적인 중국의 금융 감독을 비판하며 중지됐다. 당시 행사장엔 왕치산 국가 부주석과 이강 인민은행장 등 중국 정부 지도부와 최고위 금융 당국자들이 참석했다. 앤트그룹의 상장 무산은 당국을 비판한 마윈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복이라는 의견이 시장에서 지배적이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치킨보다 싼 대게… "다 이유가 있었네"
- “매도창구 이 증권사 뜨면 폭포 쏟아진다”… 코스닥 소형주 주의보
- 방산에 가려졌던 한화의 '효자'… 매출 1兆 알짜로 등극
- 서현, 가슴 중앙+치골 라인 뻥 뚫린 파격룩 입고 산책
- 외국인이 안 사는 유일한 반도체株… 공매도까지 '급증'
- "셰프까지 고용했다" 사양산업 벗어난 PC방의 비결은…
- [B스토리] 김치는 손 맛이라고?...年 3000억 매출 ‘종가집’ 비밀은 유산균
- "언제 누구한테 팔릴지 모른다" 흔들리는 '넥슨' 어쩌나
- "삼성·LG·SK도 찾아요"… 미래 배터리가 점 찍은 '이것'
- "中 투자하고 말지" 日 증시 활황에도 韓은 냉랭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