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카메라]매일 20건 버스 사고에도 '복불복' 안전 점검

2021. 1. 27. 19:4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롱패딩이 버스 문에 끼어 하차하던 여성 승객이 사망한 안타까운 소식 전해드렸었죠.

이렇게 버스에서 벌어지는 사고가 매일 20건이 넘습니다.

실태를 취재해보니 지자체가 안전 점검을 해도 예방할 수 없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권솔 기자의 현장 카메라 시작합니다

[리포트]
젊은 여성이 버스 뒷문에 팔이 끼면서 사망하는 사고가 파주시에서 발생했습니다.

[권솔 기자]
"사망 사고가 발생했던 지점입니다. 원인 조사는 계속 진행 중이지만 버스 관련 사고는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현장으로 갑니다."

32살 여성 김모 씨도 지난해 5월 버스 사고를 당했습니다.

건널목을 건너가던 중 갑자기 버스에 부딪히더니, CCTV 화면 바깥으로 사라집니다.

[김모 씨 / 버스 사고 피해자]
"정신 차려보니까 버스 밑에 깔렸더라고요. 진짜 소름 끼쳤던 게 바퀴가 바로 머리 옆에 있었고 한 걸음만 더 뛰었으면 죽었을수도 있어요."

충격은 여전합니다.

[김모 씨 / 버스 사고 피해자]
"버스 지나가는 것만 봐도 가슴이 쿵쾅거리고 계속 두통에 시달리고 허리 아프고. 후유증이 계속"

안에서도 급정거로 굴러 떨어지지는 등 사고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2019년 한해 7천여건, 매일 20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하는 셈입니다.

취재 과정에선, 수년전 이번 사고와 유사한 '출입문 끼임' 피해자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A 씨 / 버스 사고 피해자]
"카드 찍고 내리다가 (뒷문에) 낀 거죠. 2미터 안쪽으로 끌려간 것 같아요. 몇 발자국 콩콩했고 저는 발목이….10cm가 넘는 공간이 안 닫힌 건데 출발한 거면 센서가 작동을 안 했기 때문에 사고가 일어났다고 생각하거든요."

문이 안닫쳤는데 출발하거나, 등을 스치듯 빨리 문을 닫는 등의 위험 운전은 사라져야 하고

[승객]
"문이 닫히면 적어도 한 2초는 있다가 문을 닫아야지."

배차 시간 압박도 개선돼야 합니다.

[시내버스 운전기사]
"여유는 솔직히 말해서 없어요. 배차(시간)도 그렇고 휴식시간도 거의 없고. 방광염이 걸린다거나 그런 경우도 굉장히 많죠."

그 다음은 출입문 안전 장치 문젭니다.

장치는 세가지인데

계단의 움직임 감지 센서,

발판 압력 감지 장치,

문 끼임 방지 장치 입니다.

경찰은 이번 사고의 경우 문끼임 방지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취재 결과 사고 버스 회사는 두달전인 지난해 11월 파주시 안전 점검을 받았는데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파주시청 대중교통과]
"2020년 11월 20일로 한 점검이 있어요"

회사 버스 전체를 점검한 게 아니였습니다.

[파주시청 대중교통과]
"샘플링 검사를 하죠, 전수조사는 어려움이 있고요"

해당 회사는 지난해 교통안전공단의 점검도 받지 않았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사망자가 한 명 이상 발생하거나 중상자가 3명 이상 발생한 사고를 낸 회사에 대해서만 나갑니다."

전국 버스회사 3천여곳에 대한 전수조사는 지금까지 이뤄진 적이 없고, 지난해 승하차 센서 이상 적발은 단 1건에 불과합니다.

[국토교통부]
"시내버스가 3만 4천 대잖아요. 전수조사하면 비용이 좀 많이 들 수 있어서…."

이번 사고 유가족들은 안전장치 고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버스 사고 피해 유가족]
"이게 (사고버스랑) 똑같은 연식의 버스거든요? 문을 닫아요. 그런데 제 팔이 안에 있어요. 있을 수가 없는 일이잖아요."

"전체 노선 버스의 출입문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조사와 점검이 이뤄지길 바랍니다. 현장카메라 권솔입니다."

권솔 기자 kwonsol@donga.com
PD : 김종윤, 석혜란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