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유기견 12만 마리..서울만 발생률 감소한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12만 마리 이상의 강아지가 버려졌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7일 동물권단체 동물구조119가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기견은 2016년 8만8531마리, 2017년 10만840마리, 2018년 11만8710마리, 2019년 13만3504마리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지난해 12만8719마리로 감소했다.
이어 "유기견 발생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선 개농장과 번식장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7일 동물권단체 동물구조119가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기견은 2016년 8만8531마리, 2017년 10만840마리, 2018년 11만8710마리, 2019년 13만3504마리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지난해 12만8719마리로 감소했다. 단체는 “작년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큰 의미를 부여하긴 힘들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유기견 발생 지역은 경기도가 2만6931마리로 가장 많았다. 경기 지역의 유기견은 2018년부터 매해 2만5000마리~2만8000마리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단체는 “시골개, 떠돌이개 등이 지속적으로 유입됐기 때문”이라며 “중성화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아지 번식장이 많은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단체는 “경기도에는 개농장과 번식장이 즐비한 곳”이라며 “그곳에서 탈출하거나 유기한 동물들의 유입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기견 발생 1위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선 개농장과 번식장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서울시의 유기견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서울은 최근 4년간 유기견 발생률이 하락한 유일한 지자체다. 단체는 “서울엔 개농장, 번식장 등 유입이 될 시설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없다”며 “서울시민들의 의식향상과 캠페인도 지속적 하락의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억 아파트서 시부모 모셔야…” ‘파혼 위기’ 예비부부 사연 [e글e글]
- 尹 때리며 떠난 秋 “개혁 저항, 소란 있었지만 사라질 것”
- 남편 폰에 웬 젊은女 사진이…격분해 찌르고 보니 ‘본인 옛 모습’
- 엘리엇 페이지, 성전환 고백 두달 만에 아내와 이혼
- 내일 태풍급 강풍에 큰 눈까지…‘냉동실 추위’ 예상
- 홍은아 이화여대 교수, 대한축구협회 최초 여성 부회장 임명
- 택배노조 총파업 돌입…설 앞두고 ‘택배 대란’ 우려
- ‘재산 누락’ 조수진 1심 벌금 80만원…의원직 유지
- 文대통령 “손실보상제·이익공유제, 포용적 정책 모델될 것”
- 이재오 “오세훈·나경원, 시장되려면 진작 됐다…김종인은 헛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