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윤모 장관, 영광 태양광발전단지와 풍력 테스트베드 방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성윤모 장관이 27일 영광 태양광발전단지와 풍력 테스트베드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성 장관의 현장방문은 2050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실현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최대 태양광발전단지와 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해 재생에너지 확대 여건을 점검하고, 관계자를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성윤모 장관이 27일 영광 태양광발전단지와 풍력 테스트베드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성 장관의 현장방문은 2050 탄소중립과 그린뉴딜 실현을 위해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최대 태양광발전단지와 풍력 실증단지를 방문해 재생에너지 확대 여건을 점검하고, 관계자를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영광 태양광발전단지는 지난해 6월 준공된 국내 최대규모(100㎿) 발전소로 연간 13GWh의 전력(6만2000가구의 1년 전력사용량)을 생산할 수 있다. 이 단지는 폐염전을 활용해 조성했다. 유휴부지 활용과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다.
염전 폐업에 따라 일자리를 상실한 염부와 마을 주민이 운영하는 2㎿ 규모 주민 태양광 발전소를 조성해 세대당 연간 900만원의 수입이 기대된다. 또 태양광 모듈·구조물·배터리 등 주요 기자재 대부분을 국내 생산제품으로 사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했다.
영광 풍력 테스트베드는 국내 풍력터빈 제조기업의 대·소형 풍력터빈 인증·실증 지원을 위해 송전시설, 기상관측탑 등 성능평가 기반을 구축해 운영중이다. 현재 5㎿급 이상 대형 풍력발전기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해 2단계 확장사업을 진행중이다.
두산중공업 등에서 정부 연구개발(R&D) 지원을 통해 개발중인 8㎿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시스템도 영광 테스트베드에서 실증·인증을 획득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곳에서 개발된 대형 풍력발전시스템이 향후 신안, 서남해, 울산 등 대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에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성 장관은 “지역주민이 참여해 발전수익을 공유하는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보급 모델을 확산시키고, 국내 재생에너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속적인 R&D 확대와 관련 인프라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Copyright©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G디스플레이, 작년 영업손실 291억…전년 1조원대 적자 대폭 줄여
- 개인정보보호 기준 수립, 신기술 분야로 넓힌다
- "5G B2B 활성화" 디지털 뉴딜 성공모델 만든다
- 삼성, 키오스크 사업 뛰어든다
- 제판분리 암초 만난 한화생명…판매 자회사 설립 논의했지만, 결론 못내
- 지난해 신재생 전력거래량, 전년比 원전 1기 수준 증가
- 테슬라 국내 충전시설 두 배 늘린다...'모델Y' 상륙 대비
- [단독]GS, 그룹 온라인 통합 쇼핑몰 '마켓포' 만든다
- 기아, 4분기 영업익 117.0%↑ '사상 최고치'…영업이익률 '7.6%'
- 외산게임 확률형아이템 자율규제 준수율 처음 60% 넘어…업계 "자율규제 정착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