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韓 올해 경제성장률 3.6% 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3.6%로 제시했다.
숀 로치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7일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2021년 신용위험 전망: 경제 회복과 부채 증가의 균형잡기' 세미나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0%로 추정하고 올해는 3.6%로 내다봤다.
로치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일자리는 코로나19 이후 3% 감소에 그쳤다"라며 "이는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3.6%로 제시했다.
숀 로치 S&P 아태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7일 S&P와 나이스신용평가가 공동 개최한 ‘2021년 신용위험 전망: 경제 회복과 부채 증가의 균형잡기’ 세미나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해 -1.0%로 추정하고 올해는 3.6%로 내다봤다. 다만 3%대의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려면 경기부양 기조의 재정정책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용회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치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일자리는 코로나19 이후 3% 감소에 그쳤다"라며 "이는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에서의 일자리 감소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이미 고용상태가 불안정했던 이들을 중심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비정규직, 임시직, 시간제, 자영업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대부분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들의 소비심리가 회복되려면 이들이 일자리를 찾고도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야 할 것이고 임금상승이 다시 시작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이날 로치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그리 완화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국의 정책금리가 역사상 최저수준이라는 얘기를 많이들 한다"라며 "그러나 인플레이션도 매우 낮은 수준인 반면 실질금리는 꽤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이에 그는 "경기부양 기조의 재정정책이 지속될 필요가 있다"라며 "성급하게 경기부양책을 중단할 경우 올해 3%대 경제성장률 전망에 대해 우려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촌 동생이 밤마다..." 못 참고 경찰에 신고한 후기
- "엄친아인데 하객 왜 없지?"…초혼 아내, 남편 폰 보고 경악
- 인피니트 이성종 "하루 종일 자전거 타…몸무게 49㎏까지 빠졌다"
- 블랙핑크 리사, 75억 성북동 단독주택 매입
- 연쇄살인범 강호순 만난 여성교수 "강호순이 내게.."
- 마포 제네시스, 골목서 의문의 급가속..처참한 현장 사진
- 두 아이 엄마를 25t 트럭이..비극 영상에 한문철 안경 벗고는
- "자산 25억, 결혼 성사땐 1억 수고비"…45세男 화끈한 중매 전단
- '김연경·남진' 논란에 탁현민 뜻밖의 발언 "김제동은.."
- 40대 여성 장애인, 지하주차장서 웅크린 자세로 숨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