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장 "코로나백신 개발 기업 위한 손실보상제 도입해야"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27일 온라인으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기업들이 막대한 연구·개발(R&D) 비용을 투입하는 상황에서 개발비 때문에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을) 중도 포기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원 회장은 이어 "미국 정부의 경우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관련 12조원을 민간기업에 투자했다"며 "반면 한국의 경우 올해 감염병 위기대응력 제고 예산 4400억원 중 코로나19 관련 예산은 2627억원이다"라고 설명했다.
원 회장은 정부가 R&D 투자뿐 아니라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에 따른 기업의 손실을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회장은 "앞서 신종플루 유행 당시 국내사가 백신 개발에 성공했지만, 신종플루가 꺾이고 나자 투자비용과 재고 등에서 손실이 발생했다"며 ""팬데믹 종료 이후에도 개발 중인 코로나19치료제와 백신이 빛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손실보장제도를 마련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또 원 회장은 제약주권을 지키기 위해 보건산업 육성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산업의 근본적인 문제로 규모가 작아 글로벌 '빅 파마'(대형 제약사)의 연구개발(R&D) 및 임상시험 비용 규모를 쫓아갈 수 없다는 것이다.
원 회장은 "제약산업의 특성상 정부의 과감한 투자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일관성 있는 집중지원을 할 수 있는 대통령 직속 보건산업 육성 총괄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제약·바이오 산업의 발전을 위해 올해 △보건안보 강화 △블록버스터 창출 △글로벌 진출 가속화 △산업 환경 혁신 등 4대 과제를 실천할 계획이다. 현재 16%에 불과한 원료의약품 자급률을 5년 후 50%로 올릴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립할 계획이다. 또 정부와 협의해 국산 원료를 사용한 의약품에 약가우대를 해주는 등 국산 원료 사용을 독려할 방침이다.
기업들이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과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미국 보스턴에 설치한 '한국제약바이오혁신센터'(가칭 KPBIC)'를 본격 운영한다. 현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국내 업체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지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KAIST, 피부 땀 전부 배출하는 피부 부착 유연 소재 개발
- KAIST, 피부 땀 전부 배출하는 피부 부착 유연 소재 개발
- 아이큐어, 코로나19 예방-치료-회복 토탈 솔루션 개발 착수
- 제약협회장 "코로나 셧다운 더 길었으면 우리도 의약품 대란 일어났다"
- 코로나19 손소독제 쓰고 렌즈 만지면 각막화상 위험↑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