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피부 땀 전부 배출하는 피부 부착 유연 소재 개발
상시 피부부착형 패치 개발 등 기대
27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조영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의 양을 뛰어넘는 발습(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효과를 가진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기기 등을 오래 착용해도 피부 발진이나 홍조를 유발하지 않는 제품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피부부착형 유연 소재는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모두 증발시키지 못해 웨어러블 기기를 장기적으로 피부에 부착할 때 피부 발진이나 홍조를 유발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반면 연구팀이 새로 개발한 고발습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 기술은 폴리머 소재 내에 미세공극(구멍)을 균일하게 형성해 높은 수분 투과도를 가지도록 했다. 유연 소재 표면에 피부의 생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을 제작할 수 있어 상시 착용이 가능한 피부부착형 패치 개발이 가능하다.
다공성 폴리머를 활용한 연구가 갖던 한계점도 극복해냈다. 기존 다공성 폴리머는 설탕 등의 고형 입자를 폴리머에 혼합한 후 용액으로 입자를 녹여서 공극을 형성하는데, 고형 입자의 크기와 분포가 불균일하며 얇은 박막 형성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고형 입자 대신 구연산 용액을 폴리머에 혼합한 후 온도조절로 용액을 결정화했다. 이후 결정화된 용액의 작고 균일한 입자를 분리해내고 이를 에탄올로 녹여냈다. 그 결과 공극 크기가 작고 균일하며 얇은 막 형성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조영호 교수는 "고발습 유연 소재 박막 위에 인간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집적해 상시 착용이 가능한 반창고형 감정 측정 패치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로 피부부착형 웨어러블 소자의 착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온라인판에 지난 13일 게재됐다.
[이종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큐어, 코로나19 예방-치료-회복 토탈 솔루션 개발 착수
- 제약협회장 "코로나 셧다운 더 길었으면 우리도 의약품 대란 일어났다"
- 코로나19 손소독제 쓰고 렌즈 만지면 각막화상 위험↑
- KRPIA, 신임 회장에 한국화이자제약 오동욱 대표
- 삼양홀딩스, 삼양바이오팜 흡수 합병 결정
- “노예계약”vs“외부세력 모략”...엑소 첸백시, SM과 갈등
- 마트, 백화점, 패션 줄줄이…먹구름 낀 ‘신세계 유니버스’ [special report]
- 브브걸 유나, 시크한 ‘단발좌’의 치명적 섹시美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 ‘마약 집행유예’ 비아이 “매일 자책하고 반성...많은 것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