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붙여도 피부 트러블 없는 패치소재 만들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장시간 피부에 부착해도 피부 발진이나 홍조를 유발하지 않는 피부부착형 유연 소재를 개발했다.
이 유연소재는 피부에 밀착시켜도 땀을 모두 증발시켜 생체신호를 상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나 웨어러블 기기를 만들때 이용할 수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조영호 교수팀이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의 양을 뛰어넘는 발습 효과를 가진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세한 구멍으로 부착 부위 땀 배출에도 문제없어
상시 생체신호 측정하는 센서 등에 적용 가능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조영호 교수팀이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의 양을 뛰어넘는 발습 효과를 가진 다공성 폴리머 유연 소재와 제조공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유연소재는 기존 소재보다 미세한 구멍의 크기를 약 15분의 1로 줄이고, 크기 균일도를 2배로 증가시켰다. 또한 스핀 코팅법을 이용해 21~300마이크로미터(μm) 두께의 얇은 막이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유연소재를 7일동안 실험자의 피부에 부착해 살펴봤다. 실험결과, 장시간 피부에 부착해도 피부홍조나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또한 피부의 하루 땀 발생량인 432g/㎡보다 1.8배 높은 수분 투과율인 770g/㎡을 보였다. 반면 기존의 소재를 붙인 피부는 땀이 제대로 빠져나가지 않아 자극성 접촉 피부염 증상을 보였다.
연구진은 매우 작은 구멍이 균일하고 촘촘하게 가지도록 다공성 폴리머 소재를 만들었다. 또한 스핀코팅을 통한 매우 얇은 막 형성이 가능하도록 구연산 결정화 석출반응을 이용하는 공정도 개발했다.
미세한 구멍을 만들기 위해 폴리머 내로 투과성이 낮은 물 대신 투과성이 높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했다. 또 에탄올에 용해도가 낮은 설탕 대신 구연산을 미세한 구멍을 만드는 물질로 썼다. 균일한 구멍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연산을 마이크로 사이즈로 고체로 만들어 적용했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윤성현 박사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월 13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웨어러블 #폴리머 #센서 #박막 #홍조 #다공성 #피부부착 #피부발진 #생체신호 #스핀코팅법 #피부염 #고발습 #반창고형 #측정패치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J DOC 멤버, 충격 근황 "신용불량자 되고 19세 연하 아내와..."
- "제 가슴이.." 여배우의 '노 필터' 토크에 남성 출연진들 '당황'
- 개그맨 박명수, 정부에 쓴소리 "국민들 힘드니까..." 무슨 일?
- "사람이 떠 있다" 평화의댐서 숨진 채 발견 된 60대..알고보니
- "월급 1000만원 드릴테니 전북서 50대男과.." 소름돋는 채용공고
- '회당 출연료 2억' 배우, '내 집 마련' 19년 걸린 뜻밖의 이유
- "더 이상 고급 음식 아니네"...치킨값 수준으로 떨어진 '이것'
- 83세에 늦둥이 아빠되는 유명 톱스타, 여친 나이가...'깜짝'
- 韓 2030세대서 급증하고 있는 '이 성병' 증상 보니 "손바닥에.."
- "상상도 못해" 하버드 출신 30대 한인女, '이것' 팔아 25억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