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로 혈관을 쉽게 만들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를 배양해 인공장기나 피부 등 생체조직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플랫폼은 별도 처리 없이도 박막의 신축성을 이용해 기공이 정렬되고 나노 패턴이 형성돼 세포를 정렬시킬 수 있어서 생체조직을 배양하는 데 장점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식용 생체조직이나 동물실험 대체용 만드는데 활용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정영미 박사팀이 두 가지 이상의 세포를 한 번에 배양해 생체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다공성 박막 기반 세포 공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플랫폼을 이용해 줄기세포로 혈관을 만들었다. 이 혈관은 기존 플랫폼을 사용한 것보다 2.5배 많이 혈관벽 세포로 분열 증식했다. 또한 세포와 세포 사이를 좀 더 촘촘히 연결하는 세포연접도 크게 향상됐다.
인공장기를 만드는 세포 공배양법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세포들을 함께 키우는 것을 말한다. 지금껏 많이 이용되고 있는 세포 공배양 플랫폼 중 하나인 '트랜스웰'은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는 수십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얇은 막을 사용한다.
연구진은 기존 막 보다 10분의 1 정도인 1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더 많은 미세 구멍이 뚫려있는 막을 만들었다. 이 공배양 플랫폼은 부드럽고 신축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해 세포의 분화와 기능성 향상에 유리한 세포 정렬을 유도했다.
정영미 박사는 "이 세포 공배양 플랫폼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세포를 배양할 수 있어서 제약회사, 병원 등 생물학적 평가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전임상 시험용 툴로 적용될 수 있어 효용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기능성 재료 분야 국제 저널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최신호에 게재됐다.
#플랫폼 #피부 #신약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동물실험 #세포배양 #인공장기 #프로세스 #생체조직 #나노패턴 #전임상시험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J DOC 멤버, 충격 근황 "신용불량자 되고 19세 연하 아내와..."
- 태진아 子 이루, 음주운전 재판서 밝힌 비밀 "어머니가..."
- "30대 시신 염한 뒤 몰래..." 장례식장 직원의 파렴치한 행동
- 83세 대배우, '30세 여친 임신' 소식 듣자 친자검사 요구...왜?
- "제 가슴이.." 여배우의 '노 필터' 토크에 남성 출연진들 '당황'
- "월급 1000만원 드릴테니 전북서 50대男과.." 소름돋는 채용공고
- 화천 평화의댐서 실종 60대 수색 사흘 만에 숨진 채 발견
- '회당 출연료 2억' 배우, '내 집 마련' 19년 걸린 뜻밖의 이유
- "더 이상 고급 음식 아니네"...치킨값 수준으로 떨어진 '이것'
- "상상도 못해" 하버드 출신 30대 한인女, '이것' 팔아 25억 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