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사건 발생 반년만에..'피해자'에게 첫 사과한 이낙연

서영지 2021. 1. 27. 10: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개월 만에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피해자'에게 사과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7월에도 당 대표 경선 후보 자격으로 해당 사건에 대해 사과한 바 있지만, 당시 "피해를 호소하시는 고소인"이라는 생소한 표현을 써 논란이 된 바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원순 사망과 성추행 논란]민주당과 당 대표의 뒤늦은 사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개월 만에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피해자’에게 사과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7월에도 당 대표 경선 후보 자격으로 해당 사건에 대해 사과한 바 있지만, 당시 “피해를 호소하시는 고소인”이라는 생소한 표현을 써 논란이 된 바 있다. 이 대표가 ‘피해자’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7일 이 대표는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인권위원회가 발표한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희롱 등에 대한 직권조사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피해자와 가족들께 깊이 사과드린다. 국민 여러분께도 송구스럽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박 전 시장의 성추행 피해자가 민주당에서 ‘피해자’의 이름을 얻기까지는 꼬박 반년이 걸렸다. 지난해 7월 박 전 시장의 극단적인 선택 이후 민주당에서는 “피해 사실을 확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피해호소인’ ‘피해호소여성’ ‘피해고소인’ 같은 표현을 써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피해자의 존재를 부인해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꼼수’로 해석된 탓이다.

민주당의 이런 태도는 지지층 사이에서 수많은 2차 가해가 자행되는 것을 묵인하는 효과도 낳았다. 최근 친문(재인) 성향의 시민단체가 피해자에 대한 ‘살인죄’ 고발을 예고하고 실제로 피해자의 변호인을 무고와 무고 교사 혐의로 고발하는 데 이르렀지만 민주당은 지난 6개월 동안 침묵을 지켜왔다. 지난 25일 인권위 직권조사 결과가 발표된 뒤에야 민주당은 떠밀리듯 ‘피해자’라 호명하며 사과 논평을 냈다.

이날 이 대표는 사과와 함께 “피해자가 2차 피해 없이 일상을 회복하실 수 있도록 저희들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으나, 여전히 발언 이상의 적극적인 조치는 찾아볼 수 없다. 직접 당 차원에서 2차 가해를 제보받아 대응하고 있는 정의당의 행보와는 차이가 난다.

이 대표는 이런 사건이 재발하지 않도록 관련법도 고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업무상 위력 등에 의한 성범죄가 발붙이지 못하도록 권력형 성범죄 관련법을 고쳐서라도 처벌을 강화하겠다”며 “성 평등이 일상이 될 때까지 전국여성위원회, 교육연수원 등을 중심으로 성 평등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겠다. 윤리감찰단 등을 통해 당내 성비위 문제를 철저히 감시하고 차단하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관계자는 “2차 가해를 막기 위해서는 당에서 2차 가해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엄중하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줘야 한다”며 “한 번에 해결되지 않고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서영지 이지혜 기자 yj@hani.co.kr

▶바로가기 : 반년 지나서야…민주 ‘피해자’ 처음 지칭하며 사과

또는 아래 주소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해당 기사로 넘어갑니다.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80530.html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