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업계 최초 환경부 통합환경허가 취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업계 최초로 환경부의 통합환경허가를 취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허가대상 사업장은 오산에 위치한 공장 '아모레 뷰티 파크'로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허가를 승인받았다.
기존 아모레 뷰티 파크는 사업장 내 각 시설 및 공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지방환경청 등이 6개 법률하에서 10개의 인허가를 통해 개별 관리하던 방식이 이번 허가를 통해 통합 관리의 역할이 환경부로 일원화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은 화장품 업계 최초로 환경부의 통합환경허가를 취득했다고 27일 밝혔다. 허가대상 사업장은 오산에 위치한 공장 '아모레 뷰티 파크'로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허가를 승인받았다.
환경부가 2017년 처음 도입한 통합환경허가 제도는 대기·수질 등 분산된 환경오염물질 배출시설 별 인허가를 하나의 사업장 단위로 통합해 맞춤형 허가 기준을 설정한다.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해 사업자의 부담은 줄고 업종 및 사업장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체계를 구축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아모레 뷰티 파크는 사업장 내 각 시설 및 공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 지방환경청 등이 6개 법률하에서 10개의 인허가를 통해 개별 관리하던 방식이 이번 허가를 통해 통합 관리의 역할이 환경부로 일원화됐다.
아모레퍼시픽은 통합환경허가 조기 취득을 위해 약 2년간 환경부와의 협업을 통해 뷰티 파크의 배출시설과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 등을 점검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 제조업의 특성에 맞는 허가 기준을 함께 세웠다.
또한 오염물질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사업장에서 실질적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현재 질소산화물 한계 배출기준을 기존 대비 70% 이하로 강화한 상태다. 나아가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저감하는 초저녹스(NOx) 버너를 설치하는 등 실질적인 활동들을 통해, 배출량을 기존 대비 50% 이하까지 선제적으로 줄여나갈 계획이다.
악취·소음·진동 관리 시설을 추가 도입하는 등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비 투자 역시 적극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화장품 업계 최초의 통합환경허가 취득은 해당 업종이 추후 허가를 받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며 “책임감을 느끼고 지역사회는 물론 자연과 환경을 위해 고민하며 더 아리따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효주기자 phj20@etnews.com
Copyright©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GS, 그룹 온라인 통합 쇼핑몰 '마켓포' 만든다
- 마이크론, 1a D램 최초 양산…또 삼성보다 빨랐다
- LG디스플레이, 코로나 딛고 작년 4분기 '깜짝 실적'
- "애플, 인도 공략 통했다"...아이폰 지난해 4분기 역대 최대 판매
- 마이데이터 본허가 발표...전통금융 vs 빅테크 데이터 전쟁 '스타트'
- 삼성, 키오스크 사업 뛰어든다
- 제판분리 암초 만난 한화생명…판매 자회사 설립 논의했지만, 결론 못내
- 지난해 신재생 전력거래량, 전년比 원전 1기 수준 증가
- 테슬라 국내 충전시설 두 배 늘린다...'모델Y' 상륙 대비
- [기획]SK텔레콤, '팬데믹 1년' ICT로 방역 맹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