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케아, 직원 임금·리콜 한국만 역차별".. 참다 못한 노조 '천막농성' 나섰다
5년전 서랍장 리콜 늑장대응 이어
韓근로자 시급 해외법인의 절반
휴게시간 등 복지조건도 차이 커
이케아 "한국법 따랐고 차별없다"
양측 갈등 고조..해법찾기 쉽잖아
다국적 가구 기업인 이케아가 국내 소비자는 물론 직원 임금과 근로조건 등도 글로벌 기준과 역차별하고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5년 전 이케아는 해외서는 리콜을 결정한 제품에 대해 국내서는 관련 기준이 없다며 거부해 비난을 샀다. 최근에는 임금과 복지조건 등에서도 글로벌 기준과 차별되는 기준을 적용해 노조의 반발을 사는 등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26일 이케아코리아 노조는 일하는 형태가 비슷한 국내 대형마트나 이케아의 다른 해외 법인과 차별없는 임금과 근로조건 등을 적용해 달라며 광명점 앞에서 무기한 천막 농성에 돌입했다. 이케아 노조에 따르면 국내 법인 시급은 9,000원대로 이케아의 해외 법인 평균 시급 15달러(1만6,500원)에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케아는 또 국내 대형마트가 전액 부담하고 있는 식대에 대해서도 사측과 직원이 50대50으로 분담해 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케아 노조는 지난해 2월 결성한 후 사측과 수차례 교섭에 나섰지만 타결에 실패했다. 이후 쟁의와 나흘 간의 파업 등을 이어 오다 이날 천막 농성을 결정했다. 지난해 12월 나흘간의 파업에는 1,500여 명의 노조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750여 명이 참여했다. 노조는 관계자는 "지난 수 개월 간의 교섭은 다람쥐가 쳇바퀴 도는 것과 같았다"며 “우리는 일한 만큼 '쉬게 해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는데, 이는 80년대 노동 현장에서 나왔던 요구를 지금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1일 최소 6시간 근무 보장, 주말 수당 지급, 근무일 간 14시간 휴식, 유급 병가비 지원 범위 확대 등 국내 대형마트나 다른 해외법인 수준으로 형평성을 맞춰 달라고 주장했다.
일부에서는 지난 해 이케아가 정부의 재난 지원금 지원 과정에서 글로벌 다국적 기업이 아닌 대형마트로 분류돼 지원금을 받았으면서도 직원 복지 수준은 다른 대형 마트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자가당착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나 이케아는 리콜 제품에 대해서도 국내서만 유독 늑장을 부려 역차별 논란을 자초해 왔다. 지난 2014년 광명점 개장으로 국내에 진출한 이케아는 2016년 ‘늑장 리콜' 논란에 휩싸였다. 북미 지역에서 이케아의 ‘말름 5단 서랍장’이 넘어지면서 아이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자 곧바로 리콜 조치에 들어간 것과 대조적으로 국내서는 말름 서랍장 관련 사고가 없었고, 관련 규정도 없어 리콜을 거부했다. 서랍장 면적에 비해 높게 제작돼 아이가 서랍을 빼 밟고 올라가면 기울어지는 사고 위험이 큰 데도 국내서는 규정이 없다고 버틴 것이다. 정부가 안전성 조사에 나서면서 이케아는 뒤늦게 리콜을 결정했지만, 중국서는 사고가 전혀 없는 상태에서 동일 제품을 선제적으로 리콜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의 비판을 샀다.
이케아는 국내 진출 초기에 992명이던 직원 수는 지난해 8월 기준 2,424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매출액도 3,450억 원에서 6,634억 원으로 두 배 뛰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직원 근로 여건 개선에는 상대적으로 등한시 해 오다 이번에 노조의 반발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노조 관계자는 "직원들 대부분이 스스로 이케아코리아(한국법인명) 직원이라고 부르지 않고, 이케아 '꼬리' (이케아코리아 직원을 자조적으로 부르는 말) 라고 부른다"며 "외국계라 일하기 좋은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믿고 취직했다가 실망하는 직원이 적지 않다"고 토로했다.
이에 이케아는 “노조와 30여 차례 교섭을 통해 89개 조항에 대한 합의를 도출했고 추가 협상도 기다리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1일 최소 6시간 근무 보장을 비롯해 노조의 요구에 대해 합의안이 어느 정도 공감대를 이뤄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케아 관계자는 "임금은 최저임금을 상회하고 정년은 만 65세로 연장했다"며 "6개월 유급 출산휴가, 전 매장 사내 어린이집 등 다양한 복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법인과 임금 차별 의혹에 대해서는 "각 진출 국가의 경제 상황에 따른 결과이기 때문에 국가별 임금 비교가 어렵다”며 “법과 제도에 정한 수준 이상의 복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양종곤 기자 ggm11@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즈카페] CES 혁신상 받은 LG 전자식 마스크, 다섯 달 째 식약처 심사만 왜?
- '2,000만원 안 갚아 피소' 보도에 이혁재 '사실 아니다…경찰에 고소장 접수 안돼'(종합)
- '秋는 법무장관 표상…文은 시대의 신' 정청래 글 올리자 조국도 퍼갔다
- 집값 다 올랐는 데…이제와 고가주택 중개수수료 인하
- 경기도,‘성범죄 의심’7급 공무원 합격자 '임용자격 박탈'
- 코로나 비상시국에 8명이 고스톱... 시의원에 거센 비난
- '박사방' 조주빈 측 '징역 40년 너무 무겁다'
- 해열제만 먹고 홍천서 30여곳 들러…IEM국제학교發 지역 감염 초비상
- SK그룹, 내년부터 대졸 공채 폐지...전원 수시 채용으로
- 와이번스 매각에 충격 빠진 야구계…SK는 왜 야구단 포기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