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혜의 발길따라 그림따라] 기록하고 공감하는 예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861년 차르 알렉산드르 2세는 귀족의 토지에 매인 농노를 해방했다.
전근대적인 농노 제도의 철폐는 역사적 당위였으나 해방된 농민의 사회통합 방책이 미비한 상태에서 졸속으로 이루어진 개혁은 혼란을 가져왔다.
땅 한 뙈기 없는 농민들은 전보다 더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
농민의 참상을 목격한 진보적 지식인들은 농민 속으로 들어가 이들을 교육하고 농촌을 개선하자는 브나로드운동을 일으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1861년 차르 알렉산드르 2세는 귀족의 토지에 매인 농노를 해방했다. 전근대적인 농노 제도의 철폐는 역사적 당위였으나 해방된 농민의 사회통합 방책이 미비한 상태에서 졸속으로 이루어진 개혁은 혼란을 가져왔다. 땅 한 뙈기 없는 농민들은 전보다 더 극심한 빈곤에 시달렸다. 농민의 참상을 목격한 진보적 지식인들은 농민 속으로 들어가 이들을 교육하고 농촌을 개선하자는 브나로드운동을 일으켰다.
미술도 이에 반응했다. 1871년 젊은 예술가들은 아카데미의 전통을 거부하며 이동파를 결성했다. 이동파는 주제와 전시 방식 모두를 혁신했다. 브나로드운동에 동조해 농민의 일상생활과 러시아의 자연을 주제로 삼았으며, 이름 그대로 지방 도시를 돌아다니며 전시회를 열어 관객에게 다가가고자 했다.
마콥스키는 1872년 이동파에 가담했다. 그는 뚜렷한 현실 인식을 지닌 사람이었다. 하지만 검열제도가 엄존했기 때문에 사회 비판은 조심스럽게 수위를 조절해야 했다. 이 그림의 첫인상은 한마디로 ‘춥다’. 세상은 눈으로 덮여 있고, 누런 건물 앞에 모여 있는 사람들은 옷을 덕지덕지 껴입고 숄, 모자 등을 뒤집어쓰고 있다. 문기둥 위쪽 아치에 쓰인 글씨가 이곳이 감옥임을 말해 준다. 이 사람들은 왜 감옥 앞에 모여 있을까?
이 부분에서 역사적 배경이 개입한다. 이들은 시베리아로 유형을 떠나는 죄수에게 작별 인사를 하려고 기다리는 가족들이다. 각자 죄수에게 전해 줄 보퉁이를 지니고 초조하게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중이다. 가운데 있는 세 사람(관객을 향하고 서 있는 남자와 그 옆의 두 여인)은 말쑥한 차림새로 그 옆의 누추한 농민들과 구분된다. 브나로드운동에 뛰어들었던 중산층 젊은이는 정치범으로 체포돼 정당한 재판도 받지 못하고 시베리아 유형을 갔다. 이 가족의 아들도 아마 그런 사람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이들이 기다리는 죄수들은 무슨 죄를 저질렀을까? 불순분자일까? 테러리스트일까? 아니면 사법제도의 희생자일까? 그림은 거기까지는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화가가 이들에게 공감을 표시하고 관객에게도 동의를 구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미술평론가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별 볼 일 없는 남자들 자신감 하늘 찌르지” 中 뒤흔든 ‘전투 페미’
- “정인이는 우유 간신히 삼켰는데…양모는 사골국”
- 승설향 “장진성, 4번 성폭행…재력가 성접대 강요”(종합)
- ‘은행 지점장이 왜 이래’…신용 불량자에게 100억원 부당 대출해 ‘4년 실형’
- “가족도 안본다” 조재현, 여배우 ‘미투’ 법적공방 마무리
- 초등학생 행세로 10살 유인…“우유 먹여줘” 엽기행각
- 이재용 독방생활 대신 전한 수감자 “화장실서 설거지”
- 숨진 수원 세모녀 옆 생존한 친정엄마 구속영장 기각
- “김치는 한국 것” 中 퇴출된 햄지, 김장 영상으로 맞불
- 꾸중 들었다고…어머니 살해·은폐한 美 10대 징역 4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