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과 통화한 시진핑 "남북, 북·미 대화 지지..한국 역할 중시"
[경향신문]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6일 전화통화를 갖고 북핵 양국 간 인적·경제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시 주석은 북핵 문제 해결과 관련해 “남북, 북·미 대화를 지지한다”면서 “중국은 정치적 해결을 위한 한국의 역할을 중시한다”고 말했다.
한·중 정상 간 통화는 지난해 5월 이후 8개월여 만이다. 통화는 중국 측 요청으로 이뤄졌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에 맞춰 북한 비핵화 문제에 대한 ‘중국 역할론’을 부각시키고 주변국 단속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양 정상은 통화에서 올해와 내년을 ‘한·중 문화교류의 해’로 선포하고, 교류의 해를 성공적으로 추진해 풍성한 성과를 거두기를 기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에서 전했다. 주한미군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이뤄진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이 풀리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지난해 성사되지 못한 시 주석의 방한을 포함한 고위급 교류 활성화를 위해 긴밀히 소통·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상황이 안정돼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조기에 방한이 성사될 수 있도록 양국이 계속 소통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여건이 허락되는 대로 조속히 방문해 만나 뵙길 기대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에 중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당부했고, 시 주석은 “북한이 노동당 8차 대회에서 밝힌 대외적 입장은 미국·한국과 대화의 문을 닫지 않았다는 것으로 본다”면서 “한반도 정세는 총체적으로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초 동맹국과 연쇄 통화를 하며 전통적 동맹 복원 행보에 나선 가운데 이뤄진 이날 통화는 중국 입장에선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해석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캐나다·멕시코·영국·프랑스·독일 정상 등과 통화를 했다. 문 대통령도 이번주 중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주영 기자 young78@kyunghyang.com
Copyright©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준석 “국민의힘 내년에 83~87석···한동훈, 명품백 받으면 잡범이냐 질문엔?”
- 올해의 사자성어 ‘견리망의’···홍준표 “부끄럽고 부끄럽다”
- 소유 “임영웅과 열애? 고깃집에서 인사도 안 해”
- 유니클로 ‘이례적’ 배당…연간 순이익보다 더 많은 고배당 단행
- [이기환의 Hi-story] ‘조선은 똥!덩!어!리!’...박제가는 왜 ‘중국어공용론’까지 설파했을까
- 하태경 “모두 속았다···김기현, 사퇴가 답”
- 이준석 “윤 대통령, 김건희 특검 막기 위해 당에 부탁?···방탄 프레임 걸리고 싶나”
- 2027년부터 경계작전부대 소위 연봉 4990만원…군 초급간부 봉급 최대 30% 올린다
- 홍준표 “이재명 수사에 집착하는 검찰 정치, 바람직 않다”
- 임혜동 “술만 먹으면 폭행”···김하성 “사실 아냐, 추가 고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