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 아메리칸' 바이든 "정부차량, 美전기차로"..현대차 타격 불가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정부기관이 사용하는 차량을 모두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로 교체하겠다고 발표했다.
2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정부기관 차량 부품 중 최소 50%가 미국산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를 더 확대해 엄격하게 미국산 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려야 한다"며 "미국산 전기차 사용은 미 자동차 산업에 백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이번 행정부의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부품부터 완성차 제조까지 미국에서"
美 전기완성체 업체, 테슬라·GM·닛산 등
25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현재 정부기관 차량 부품 중 최소 50%가 미국산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를 더 확대해 엄격하게 미국산 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려야 한다”며 “미국산 전기차 사용은 미 자동차 산업에 백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이번 행정부의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자동차 산업에서 연방정부는 주요 구매자다. 미 연방정부 차량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차량은 2019년 기준 44만5777대(군용 포함)다. 이들이 미국산 자동차만 고집할 경우 현대·기아차는 물론 글로벌 자동차 업체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미국 내에서 미국산 부품으로 완성차까지 생산하는 자동차 업체는 테슬라, 제너럴모터스(GM), 닛산 자동차 등 세 곳뿐이다. 포드 자동차는 미국 내 생산 계획을 발표한 상태다. 모든 관용차를 이들 업체에서 생산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설명이다. CNBC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 제너럴모터스(GM)는 성명을 통해 “미국 제조업을 지원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약속은 고무적”이라며 “행정명령의 세부사항을 검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포드는 “미국, 미국인, 미국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국가적 임무라고 믿는다”라며 환영의 뜻을 보냈다.
조민정 (jungss@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프로야구단 헐값 인수에도 이마트 향한 불신의 눈초리…왜
- [단독]故 아이언 유족 "부검 의사 없었다…이미 입관식 마쳐"
- [기자수첩]집값에 복비에 두 번 우는 서민들
- "조재현, 가족과도 왕래 안해"..허무하게 끝난 '미투' 법정공방
- SBS 측 "배성재 아나 퇴사? 관련내용 확인 중" [공식]
- ‘집콕’ 늘면서…대형마트·백화점 줄줄이 매각됐다
- "모두 바지 내리세요"…코로나 '항문 검사' 강요하는 中
- 아이언 전여친, SNS에 ‘니콜키드먼’ 사진 올린 이유
- '60억원->1352억원' 40년 역사속 프로야구 구단 매각
- 노래방서 지인 성폭행 혐의.. 전직 프로 야구선수 ‘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