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한판 9000원, 장보기 무서워요".. '금란(金卵)'된 계란에 주부들 시름

김민정 기자 2021. 1. 26. 16: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로 내내 집에 있어 끼니를 챙길 때 제일 만만한 게 계란 요리인데, 계란 한판 가격이 나날이 오르면서 장보기도 무서워졌다."30대 주부 김민진씨는 "아이들 반찬으로 계란 요리를 자주 해주는데 가격이 올라서 부담스러워질 정도"라면서 "1인당 한판밖에 못 사는 데다가 한 판 가격이 만원에 육박해 말 그대로 '금란(金卵)'이 됐다"고 한숨을 쉬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계란 한 판 가격은 661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뛰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내내 집에 있어 끼니를 챙길 때 제일 만만한 게 계란 요리인데, 계란 한판 가격이 나날이 오르면서 장보기도 무서워졌다."

30대 주부 김민진씨는 "아이들 반찬으로 계란 요리를 자주 해주는데 가격이 올라서 부담스러워질 정도"라면서 "1인당 한판밖에 못 사는 데다가 한 판 가격이 만원에 육박해 말 그대로 ‘금란(金卵)’이 됐다"고 한숨을 쉬었다.

최근 계란값이 연일 급등해 소비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알을 낳는 산란계를 대거 살처분하면서 계란값이 크게 오른 탓이다.

대형마트(위)에서 9380원에 계란이 판매되고 있다. 전통시장에서도 계란 한판에 9000원까지 오른 가격으로 판매 중이다. /김민정 기자

4개월간 지속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로 살처분된 닭은 전국적으로 1800만 마리를 넘어섰다. 이 가운데 산란계는 1033만여마리로 지난해 기준 전체 산란계의 10% 수준에 이른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이달 22일 기준 계란 한 판 가격은 661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4% 뛰었다. 산지 가격의 경우 한 판당 가격이 45.8% 뛴 5091원으로 오름폭이 더 크다.

계란 가격이 뛰면서 최근 대형마트들은 계란 구매 수량을 제한하고 있다. 이마트와 이마트 트레이더스는 지난 15일부터 30구 짜리 계란은 1인당 1판까지만 가능하도록 구매 제한을 뒀다. 홈플러스도 30구짜리 계란은 1인 1판까지만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롯데마트도 같은 날부터 개수와 상관없이 1인당 최대 3판까지 구매할 수 있도록 판매 제한에 나섰다.

22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급등해 일부 대형마트에서 구매 수량을 제한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류 인플루엔자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자 정부는 신선란 등 계란 가공품에 대한 관세 면세 조치를 하고 외국산 계란 수입에 나섰다. 정부는 미국산 신선란 60톤(t)을 들여와 26일 공매 입찰을 통해 시중에 푼다.

아시아나항공은 25일 미국 시카고-인천 노선을 통해 미국산 계란 20여톤을 운송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앞서 지난 2017년에도 국내 조류 인플루엔자로 계란 공급이 부족해지자, 150톤 이상의 수입 계란을 들여온 바 있다.

현실화한 ‘계란 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할당 관세를 6월 30일까지 적용하고 추후 시장의 수급 동향을 고려해 연장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그러나 유통업계 등에서는 계란을 수입해도 국내 판매가격이 안정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국내 소비자들이 수입 계란을 선호하지 않는 데다, 설 연휴를 앞두고 계란 수요가 계속 늘어 가격이 계속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계란은 신선도가 중요한데 운송 거리나 검역 기간 등을 따지면 국내산보다 신선도가 덜해 소비자들이 선호하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조류 인플루엔자 사태를 빨리 해결해 국내산 제품 공급을 늘려야 계란값이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류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닭고기 역시 최근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처분으로 닭고기 가격은 불안해졌다. aT에 따르면 육계 소비자가격은 지난 22일 기준 kg당 5859원으로 한 달 전보다 13.9% 올랐다.

aT 관계자는 "다만 육계 사육 농가는 산란계와 달리 자동화 시스템이 갖춰진 곳이 많아 조류 인플루엔자 피해가 덜한 편"이라며 "육계는 알에서 부화한 후 35일 정도면 시중에 출하될 정도로 수급이 빨라 가격 오름폭이 계란에 비해 작았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