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시대 열려면 '진짜 5G' 28㎓ 필요한데..전국망 포기한 정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20배 빠른 '진짜 5세대 이동통신(5G)(정부는 이를 5G+라고 지칭)'을 기업 중심으로 서비스하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5G+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28㎓(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의 기지국이 전국에 촘촘히 깔려야 하지만, 비용 문제로 이를 곤란해하는 통신사 입김에 백기를 든 모양새가 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LTE보다 20배 빠른 5G 서비스는 28㎓
28㎓ 5G망 깔려면 촘촘한 기지국·모뎀 필요
막대한 예산에 기업용으로 한정하겠다는 정부
초고속 5G망 없으면 ‘반쪽 자율주행’ 그칠 것
정부가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20배 빠른 ‘진짜 5세대 이동통신(5G)(정부는 이를 5G+라고 지칭)’을 기업 중심으로 서비스하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5G+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28㎓(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의 기지국이 전국에 촘촘히 깔려야 하지만, 비용 문제로 이를 곤란해하는 통신사 입김에 백기를 든 모양새가 됐다.
이에 따라 5G 스마트폰을 쓰는 일반 소비자들은 현재 통신사가 상용 서비스 중인 3.5㎓ 대역의 서비스를 쓰는 데 만족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초고속·초저지연의 5G+는 완전 자율주행 서비스를 완성시킬 핵심 인프라로도 지속 거론돼 온 만큼 본격 자율주행차 시대가 요원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2019년 4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국내 5G 서비스는 LTE보다 4~5배가량 빠른 수준이다.
◇ 전국망은 3.5㎓로, ‘꿈의 5G’ 28㎓는 기업 중심으로
2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영상으로 ‘제4차 범부처 민·관 합동 5G+ 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기업 중심으로 5G+ 수요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통신사는 올해부터 각각 1만5000개의 28㎓ 기지국을 설치해야 한다.
통신사가 5G+망 투자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만큼 특정 지역(공간)에 한정해 민간사업자에게 28㎓ 주파수를 할당, 이용하도록 하는 ‘5G 특화망’ 서비스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20여 곳이 자사 연구개발 등의 목적으로 특정 건물·공장 등에 5G+망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업계는 초고주파로 갈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는 반면, 전파거리가 짧고 투과율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5G+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28㎓ 주파수의 경우 낙엽도 뚫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있을 만큼 투과율이 LTE 대비 크게 떨어진다"면서 "전파거리 특성상 기지국을 여러 개 설치해야 하고, 이를 지속 관리할 인건비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실정이다"라고 전했다.
5G+망을 수신할 수 있는 모뎀의 가격이 비싼 점도 통신사로서는 적극적으로 투자하기를 꺼리는 이유다. 기지국을 설치해봐야 이를 수신할 기기가 아직 마련돼 있지 않아, 투자해도 수익을 낼 수 있냐는 것이다. 정부는 현재 상용 서비스 중인 3.5㎓ 5G망 투자조차 손을 놓고 있는 통신사 측에 내년까지 전국망을 깔도록 했다.
◇ 자율주행차 쏟아지는데…28㎓ 전국망은 ‘요원’
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가 아무리 잘 만들어지고, 여기에 빛을 이용한 라이다, 전파를 쓰는 레이더 같은 자율주행 필수 센서가 잘 장착돼 있다더라도 5G+망이 촘촘하게 구축돼 있지 않으면 ‘반쪽 자율주행’에 그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5G+는 센서를 통한 주변 차량의 움직임 추적이나 빈자리 파악 외에도 1㎞ 멀리 있는 빈자리, 돌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관제할 수 있는 역할을 해 자율주행을 완성시킬 핵심 기술로 거론돼 왔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완성차 업체, 통신업계는 상용 서비스 중인 3.5㎓ 대역 기지국을 특정 구간에 집중적으로 세워 전파 수신이 용이한 환경을 만든 뒤 자율주행 테스트를 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5G망 사용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문제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향후 사용자가 늘어나고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자율주행차가 늘어나는 순간이 오면 5G만으로는 데이터 수신 지연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5G+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장 늘리고 프로모션 강화”… 삼성·애플·샤오미, 인도 스마트폰 시장서 ‘샅바싸움’
- 한화시스템, 함정 상태기반진단체계도 국산화… “수출 주력품목 될 것”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지역축제...위탁에 재위탁 ‘혈세만 줄줄’
- 소주 2잔 마셔도 대장암 위험 증가…10년 금주해도 소용없다
- BYD 아토3, 출시 7일 만에 사전계약 1000대 돌파… 국내 진출 초반 순항
- 尹, 옥중 편지에서 “국민 여러분 생각이 많이 납니다”
- [금융포커스] 윤석열 참모도 몰랐던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
- 사상 첫 도전… SK하이닉스, 올해 삼성전자 전사업 부문보다 많이 벌까
- '철수설' 딛고 우뚝 선 '래미안', 신용등급 걱정하는 '디에이치'… 연초부터 희비 엇갈려
- “미래에셋이라 믿었는데”… 소속 보험설계사 2000억 PS파이낸셜 사기 연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