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혁신상 넷 중 하나는 '메이드 인 코리아'

한우람 2021. 1. 26. 13: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체 수상제품 386개 중 101개는 한국 제품

올해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는 '메이드 인 코리아' 제품이 주도했다. CES 혁신상 수상제품 중 넷 중 하나를 국내 제품이 휩쓴 것이다.

26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최용민)은 'CES 2021, 생활밀착형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팬데믹 시대 혁신 트렌드로 확인'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CES 출품 제품 가운데 가장 혁신적인 제품으로 선정돼 CES 혁신상을 수상한 한국 제품은 101개로 전체 386개 중 26.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수상제품 수가 464개에서 386개로 줄어들었음에도 CES혁신상 수상 한국 제품 숫자는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혁신상 수상 비중은 2020년 21.8% 대비 4.4%포인트 늘었다.

특히 올해 단 27개 제품에만 수여된 최고혁신상에는 한국제품 7개(25.9%)가 포함됐다. 이는 작년 6개에서 1개 증가한 것으로 한국제품의 최고혁신상 수상 비중도 2020년 19.4%에서 25.9%로 6.5%포인트 늘어났다.

국내 수상제품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건강·웰빙(13개), 스마트 홈(6개), 지속가능성(5개) 순으로 많았다.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 제품은 19개에 달했다.

박가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올해 코로나19로 CES가 온라인으로만 개최되면서 참가규모가 작년 4400개사 절반에도 못 미치는 1961개사로 줄었음에도 한국제품의 혁신상 수상 비중은 오히려 높아지는 등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면서 "코로나19로 비대면 생활패턴이 일상화되고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 개인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고민하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앞으로 우리 일상의 디지털화는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