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활용이 곧 보존..경남 38개 현장 프로그램 '풍성'

경남CBS 최호영 기자 2021. 1. 26. 12: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상남도가 문화재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우리 고유의 전통과 멋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문화재별 성격에 맞는 세계유산 활용프로그램과 생생문화재, 향교·서원, 전통산사, 문화재 야행, 고택·종갓집 등 6개 영역으로 나눠 진행한다.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은 인문학적 정신유산과 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한 전통산사의 문화재적 가치와 의미를 체험·공연·답사 등의 형태로 도민이 누릴 수 있는 산사문화 프로그램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비대면 관람 프로그램 '빅게임 통도사'·문화재 야행 프로그램 등 운영
통영 문화재야행. 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가 문화재를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우리 고유의 전통과 멋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는 올해 54억 원을 들여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 38개를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지난해에는 32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그동안 지키고 보존하는 것으로 인식돼 접근하기 어려웠던 문화재를 도민들과 누리고자 추진된다.

문화재별 성격에 맞는 세계유산 활용프로그램과 생생문화재, 향교·서원, 전통산사, 문화재 야행, 고택·종갓집 등 6개 영역으로 나눠 진행한다.

세계유산 활용 프로그램은 양산 통도사에 비대면 관람 프로그램인 '빅게임 통도사'를 구축한다. 현장에서 '빅게임 통도사' 앱을 설치 후 통도사 내 QR코드를 인식하면 관람동선에 따라 스토리 기반의 미니게임이 진행된다.

입체영상(4D) 등 촬영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생생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위치기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비대면 프로그램이다.

'생생문화재 사업'은 문화재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발견해 현대적으로 재창조하는 프로그램이다. 통영 '이순신학교', 김해 'Talk하면 통(通)하는 생생 가을나들이', 함안 '화천농악과 함께하는 함안 生生 마실', 고성 '잠자는 말뚝이를 깨워라. 생생!!!' 등 10개 프로그램이다.

'향교·서원 문화재 활용사업'은 향교와 서원을 생기 넘치는 문화공간이자, 인문정신과 청소년 인성을 함양하는 공간으로 조성한다. 진주 '법고창신 가호서원!', 김해 '월봉 슬로(slow) 자연학교', 사천 '6기예(6技藝)로 사천향교에서 놀아보자!' 등 13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통영 이순신학교. 경남도청 제공
'전통산사 문화재 활용사업'은 인문학적 정신유산과 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한 전통산사의 문화재적 가치와 의미를 체험·공연·답사 등의 형태로 도민이 누릴 수 있는 산사문화 프로그램이다. 창원시 '성인이 머무는 곳, 성주사로 가자!', 거제시 '신광사, 석불의 미소', 고성군 '옥천사 봉쥬르 시왕, 하와유 나한', 남해군 '나도! 남해, 화방사 문화유산 발굴단' 등 4개 사찰에서 진행한다.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은 지역의 특색 있는 역사문화자원과 주변의 문화 콘텐츠를 융합해 야간에 특화된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통영 '통제영 300년의 비밀(7夜 구성), 밀양 '도호부, 삼인삼색(三人三色)을 만나다', 거제 '포로수용소의 밤', 함안 '말이산 고분에서 즐기는 밤 나들이' 등 7개의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은 고택·종갓집의 전통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체험할 기회를 준다. 밀양 '문화객가(文化客家), 전통을 잇고 미래를 품다', 함양 '고택아 놀자!!', 거창 '의리대가 동계종가' 등 3곳에서 운영한다.

경남도 김영선 가야문화유산과장은 "다양한 문화재 활용 프로그램이 도내 전 지역에서 연중 개최된다"며, "많은 도민들이 소중한 지역문화재를 향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별 사전 안내와 홍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경남CBS 최호영 기자] isaac421@naver.com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