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610] 詩가 나를 춤추게 하네
제46대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22세 청년 계관시인 어맨다 고먼이 낭송한 축시 ‘우리가 오르는 언덕(The Hill We Climb)’은 시가 왜 예술의 최정점인지 확실히 보여줬다. “시는 전달하려는 이야기가 너무 좋아 완벽한 문장일 필요도 없다”는 말처럼 그는 겨우 3937자로 우리 모두의 마음을 훔쳤다. “빛은 언제나 거기 있다/ 우리에게 빛을 바라볼 용기만 있다면/ 우리에게 빛이 될 용기만 있다면.”
고먼은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시를 낭송한 여섯 번째 시인이다. 이 전통은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이 ‘가지 않은 길’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를 모시면서 시작됐다. 그 후 클린턴 대통령은 마야 앤절루(1993)와 밀러 윌리엄스(1997)를, 그리고 오바마 대통령은 엘리자베스 알렉산더(2009)와 리처드 블랑코(2013)를 초대했다. 공화당 출신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시를 낭송한 적은 한 번도 없다.
프로스트가 케네디 대통령을 위해 따로 축시를 준비했다가 당일 아침 눈이 너무 부셔 읽지 못하고 자신의 시 중 하나를 암송한 일화는 유명하다. 바이든 대통령 영부인 질 바이든의 요청을 받은 고먼도 탈고의 진통을 겪다가 지난 6일 의회 폭동을 지켜본 뒤 밤을 새워 쏟아냈다고 한다. “우리는 나라를 산산조각 내려는 힘을 지켜보았다/ …/ 그리고 그 노력은 거의 성공할 뻔했다/ 그러나 민주주의는 때로 멈출 수는 있어도/ 결코 완전히 무너지지는 않는다.”
시인 칼 샌드버그는 일찍이 “시는 그림자도 춤추게 하는 메아리”라 했다. “우리의 따뜻한 마음과 힘을 합하면/ 그리고 그 힘과 공정함을 합하면/ 사랑이 우리의 유산이 된다.” 고먼의 시는 우리 모두의 그림자를 갈등과 분열의 늪에서 건져내 화합과 희망의 언덕으로 밀어 올려주었다. 20세기가 기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과 함께 시작했듯이, 21세기의 막은 2021년에 오른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검찰,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 법무법인 광장 전 직원 구속
- 한일수교 60주년 기념 아시아 챌린지 서핑대회, 5월 시흥서 개최
- Pope Francis’ humble approach shaped South Korea ties
- 치매 걱정된다면 ‘이것’부터 잡아라… “발병 위험 15% 이상 뚝”
- 한덕수 대행, 명동성당 프란치스코 교황 분향소 조문
- “종교인에게도 귀감이 된 교황” 국내 종교계 애도 이어져
- 보수 유튜버 고성국, 생방송 도중 혼절…“병원서 정밀 검사 중”
- Opposition demands Han’s impeachment over election interference
- Vila Nova de Gaia’s WOW celebrates Easter with sweet festivities
- Jeju Air’s Business Lite wins over 30s, 40s with affordable comf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