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국채 급증]금리왜곡에 재정경직성 심화..자금이탈 가능성도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23일 페이스북에서 “정부의 적자는 곧 민간의 흑자이고 나랏빚은 곧 민간의 자산”이라며 재정 건전성을 우려하는 기재부를 거듭 ‘저격’했다. 민간 투자자에게 국채는 부도 우려가 없는 안전 자산인 만큼 올해 93조 5,000억 원 규모로 편성된 적자 국채 물량을 더 늘려 과감한 자영업자 손실 보상 및 4차 재난지원금 지급에 나서라는 취지로 해석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은 다르다. 애초에 기관투자가들이 흡수할 수 있는 국채 물량에는 한계가 있고 과도한 정부 지출이 시중에 풀리면 유동성 과잉으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가 한국은행의 국채 매입으로 확보된 막대한 자금을 시중에 풀 경우 즉각적인 통화량 증대로 이어지게 된다. 인플레이션 가능성과 함께 통화가치 절하로 인한 환율 상승까지 나타날 수 있다. 또 대규모 국채 발행으로 금리가 급변동하거나 국가신용 등급까지 강등될 경우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단 금리가 뛰기 시작하면 가계와 기업의 부담이 커지면서 경기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의 한 보험 회사 투자 담당 임원은 “그나마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 대출은 고정 금리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버틸 여력이 있지만 기업 대출은 대부분 변동 금리로 나가는 경우가 많아 고용과 투자에 충격을 받게 된다”며 “신용 등급 A등급 이하 기업들도 회사채 발행이 사실상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유동성 확대 및 금리 인상은 곧장 물가 상승 압력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기재부의 한 관계자는 “정부 지출 확대는 곧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국가 재정 부실화에 따른 신용등급 하락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한국의 국가 채무 비율이 오는 2045년 99.6%까지 오를 경우 신용 등급이 2단계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칫 현재 ‘AA(S&P 기준)’인 국가신용 등급이 ‘A+’까지 떨어진다는 의미다. 이 경우 국채 발행 금리가 오르면서 시중 금리까지 덩달아 상승하는 ‘쓰나미’ 효과가 나타나는 한편 외국인 투자 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한꺼번에 탈출할 가능성도 있다. 또 우리 국채를 보유한 외국인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지난해 말 기준 국고채 잔액에서 외국인 투자가가 차지한 보유 비중은 16.7%로 약 123조 원에 이른다. 2006년 약 4조 원 수준에 불과했던 보유 물량이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과거 글로벌 금융 위기와 같은 상황이 또다시 찾아와 외국인들이 ‘팔자’에 나선다면 우리 경제의 취약점을 자극하는 트리거가 될 수 있다.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경기 땅만 2.4조 판 기획부동산…'다단계 취업 사기'
- 이마트 와이번스? 정용진 SK와이번스 구단주 된다
- 추미애 '내가 먼저 사의하면 윤석열도 관둘 줄 알았다'
- 화내다 가슴 움켜쥔채 털썩…스트레스가 심장마비 부른다
- '리얼돌은 풍속 해치는 물품 아닌 성기구' 수입업자 손들어준 법원
- “이혁재 수천만원 빌려가고 안 갚아”…경찰에 고소장 접수
- '정인이 학대 정황, 저한테 왜 얘기 안 해줬을까' 억울함 호소한 양부의 한마디
- 부산 찾은 전광훈 '文은 北 보자기에 싸인 사람…이승만, 하늘이 내려준 사람'
- [전문] 장혜영 '김종철 성추행, 나를 잃지 않으려 밝혀…끝까지 싸우겠다'
- “도저히 못 하겠다” 했는데...스쿠버 교육 강행해 사망사고 낸 강사 벌금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