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사업은 AI서 판가름"..특급인재 영입전 치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년간 주요 기업들의 AI 인재 영입은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미국 텍사스주립대에서 컴퓨터공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진 본부장은 2018년부터 SK텔레콤의 AI 사업을 책임져왔다.
LG그룹은 지난달 전사 차원의 AI 조직 'LG AI연구원'을 출범시키며 이홍락 미국 미시간대 교수를 전격 영입했다.
하정우 책임리더를 AI랩장으로 전진 배치하고 인재 영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I 조직 확대하고 투자 활발
최근 1년간 주요 기업들의 AI 인재 영입은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이마트는 이달 초 진요한 SK텔레콤 DT(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추진그룹장을 디지털사업본부장으로 선임했다. 미국 텍사스주립대에서 컴퓨터공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한 진 본부장은 2018년부터 SK텔레콤의 AI 사업을 책임져왔다. 올해부터 이마트의 AI, 빅데이터 활용 사업을 진두지휘한다.
SK그룹은 지난해 9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AI 독립법인 ‘가우스랩스’를 설립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캠퍼스(UCSD) 종신 교수인 ‘데이터 전문가’ 김영한 교수를 초대 대표로 선임했다.
LG그룹은 지난달 전사 차원의 AI 조직 ‘LG AI연구원’을 출범시키며 이홍락 미국 미시간대 교수를 전격 영입했다. 구글의 AI 연구조직 ‘구글브레인’ 출신인 이 교수는 머신러닝 분야 전문가다. 2013년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세계 10대 AI 연구자’로 꼽혔다.
현대자동차는 AI 분야 최고 석학으로 손꼽히는 토머스 포지오, 다니엘라 러스 MIT 교수를 자문위원으로 영입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 자사 AI 연구조직을 확대 개편한 ‘네이버 AI랩’을 출범시켰다. 하정우 책임리더를 AI랩장으로 전진 배치하고 인재 영입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김진원/이시은 기자 jin1@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리금 0원이어도 안 가요"…'사교육 1번지' 대치동의 몰락
- 국민차 '그랜저'도 제쳤다…수출왕 등극한 1위 자동차 [車 UP & DOWN]
- "늦기 전에 막차 타자"…'영끌' 투자자들 뭉칫돈 몰리는 곳
- "車반도체 좀…" 다급한 미·일·독 정부, 대만에 이례적 'SOS'
- "명품주식 팔아 루이비통백 산다"…보복소비에 럭셔리주 폭등
- 오정연 "똥은 무서워서가 아니라 더러워서 피하는 것"…무슨 일?
- 골퍼야, 배우야? 완벽한 미모에 몸매까지
- [속보] 래퍼 아이언, 사망
- 박솔미 "♥한재석과 결혼? 실수" ('1호가')
- [TEN 이슈] 김새롬 '정인이 사건' 실언에 홈쇼핑 대표도 사과 "방송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