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정부 업무보고 회복·포용·도약 대한민국 2021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 질병관리청(본부)은 신종감염병 위기에 총력 대응하고, 주요 감염병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강화하여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하였습니다.
□ 인플루엔자 등 주요 감염병과 만성질환 등 각종 질병 예방·관리를 강화하여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ㅇ 인플루엔자, A형간염 등 국가예방접종을 확대하고, 결핵, 의료감염 및 항생제 내성 관리 등 감염병 상시 예방 체계도 강화하였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1 정부 업무보고 「회복·포용·도약 대한민국 2021」
- 코로나19 조기극복을 통한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 회복 -
< ’21년 핵심 추진과제 >
◈ 3T(검사-추적-치료) 역량 극대화 등 코로나19 전파 신속 차단 ◈ 안전한 전 국민 무료 예방접종을 통한 코로나19 조기 극복 ◈ 감염·만성질환 예방·관리 및 신종건강위해 대응 강화 |
< 정책 추진성과 및 ‘21년 업무계획 관련 사례 >
정책 성과 |
ㅇ (희귀질환 진단·치료) A씨는 6년 동안 여러 병원을 다니며 병명을 찾기 위한 ‘진단방랑’을 하였으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없었음. 희귀질환 권역별 거점센터가 거주 지역 내 확대 설치됨에 따라, 해당 센터에서 희귀질환 진단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진단·치료를 받게 됨 ㅇ (결핵 완치) 결핵 환자인 B씨는 거동불편으로 의료기관 방문 부담에 약물 부작용까지 겹쳐 치료를 중단한 상태였으나, 결핵전담간호사의 설득을 통해 입원명령 지원사업에 참여함. 3주간 집중 치료를 통해 전염력을 소실하였으며, 이후 맞춤형 사례관리와 연계하여 완치함 |
’21년 계획 |
ㅇ (결핵 검진)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인 C씨는 ’21년부터 찾아가는 결핵검진 사업 대상에 거동불편 장애인이 추가됨에 따라 병원을 가지 않고, 집에서 편리하게 결핵 검진을 받을 수 있게 되었음 ※ 여타 사례는 [별첨] 2021년 질병관리청 업무계획 자료(p.21~) 참고 |
< 지난 4년간 질병관리정책 추진성과 >
□ 질병관리청(본부)은 신종감염병 위기에 총력 대응하고, 주요 감염병 및 만성질환 예방·관리를 강화하여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하였습니다.
ㅇ 또한, 청(’20.9) 승격을 통해 감염병 대응 역량을 대폭 확대하고, 만성질환, 신종건강위해 등 질병 예방·관리 기반을 강화하였습니다.
□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개방성, 투명성, 민주성’ 원칙하에 3T* 및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을 통해 코로나19 환자 발생을 억제하였습니다.
* 검사・확진(Test)- 조사・추적(Trace)- 격리・치료(Treat)
ㅇ 코로나19 자체 검사법을 선제적으로 개발(’20.1.9, 첫 환자 발생 전)하고 진단검사 역량·인프라를 대폭 확대하여 확진자를 조기 발견하고,
ㅇ ICT 기반 신속·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해 단시간 내 접촉자를 추적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였습니다.
□ 인플루엔자 등 주요 감염병과 만성질환 등 각종 질병 예방·관리를 강화하여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적극 지원하였습니다.
ㅇ 인플루엔자, A형간염 등 국가예방접종을 확대하고, 결핵, 의료감염 및 항생제 내성 관리 등 감염병 상시 예방 체계도 강화하였습니다.
ㅇ 고혈압·당뇨 등록 관리 및 의료비 지원 대상 희귀질환 확대 등 비감염성 질환의 예방·관리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습니다.
□ 건강하고 안전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국가 보건의료 R&D 기반을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민간 연구·개발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ㅇ 감염병에 대한 진단·치료 기술 및 백신 개발 역량을 높이기 위해 국립감염병연구소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신설(’20)하였습니다.
ㅇ 치료제·백신 후보물질 개발·지원과 희귀난치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재생의료 연구 지원도 지속하고 있습니다.
< 2021년 질병관리정책 업무계획 >
□ 질병관리청은 다음 3가지 핵심 추진전략을 담은 「2021년 주요업무 추진 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① 코로나19 방역 총력 대응을 통한 국민의 생명 보호
ㅇ 집단면역 달성 전까지 방역 역량을 극대화하고, 철저한 진단검사 및 입국 관리로 코로나19를 조기 발견하고, 확산을 차단하겠습니다.
ㅇ 역학조사관을 지속적으로 확충(325명('20) → 385명('21))하고, ICT 기술을 활용하여 신속·정확한 역학조사를 실시하겠습니다.
② 안전한 전 국민 무료 예방접종을 통한 일상 회복
ㅇ 총 인구 수보다 많은 5,600만 명분의 백신 구매를 완료하였으며, 노바백스 백신 2,000만 명분을 추가 확보 중입니다.
ㅇ 11월 집단면역 형성을 목표로 전 국민 70% 접종을 위해 범정부 자원을 총동원하여, 안전한 예방접종을 시행하겠습니다.
③ 질병 예방·관리 강화로 국민의 건강 보호
ㅇ 거동불편 장애인 등이 집에서 결핵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이동 검진을 확대하고, A형간염 고위험군 예방접종도 지속하겠습니다.
ㅇ 감염병 다부처 협력체계(원헬스)를 활성화하고, 아세안 감염병 대응·기술협력 확대 등 국제 공조를 강화하겠습니다.
ㅇ 고령화, 기후변화 등 정책 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만성질환관리 종합계획」, 「기후보건영향평가 계획」을 수립하겠습니다.
□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코로나19를 조기 극복하여, 국민의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별첨> 2021년 질병관리청 업무계획 자료
copyrightⓒ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