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언론도 인정한 '도쿄올림픽' 무산 가능성.."현실 직시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쿄올림픽·패럴림픽(7월 23일~9월 5일) 개막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언론들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우려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매체는 일본 정부가 2032년 개최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후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해당 보도를 부정하고 개최를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으나, 취소론은 확산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도쿄올림픽·패럴림픽(7월 23일~9월 5일) 개막이 6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본 언론들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우려를 표명하기 시작했다.
25일(이하 현지시간) 도쿄신문은 사설에서 “정부나 도쿄도, 조직위원회는 개최 가부를 근본적으로 따져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신문은 “너무 늦긴 했지만 감염 상황에 맞게 축소안이나 취소안 등을 검토해 준비 상황이나 영향 예측 등을 공표하고 어떤 안을 선택할 것인지 정중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만약 대회를 개최하는 경우 감염 방지 대책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며 “어떤 형태가 되더라도 감염 확산을 억제하고 긴급사태를 조기에 해제하는 것이 개최의 대전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월25일 예정된 성화 봉송 일정에 맞춰 늦지 않게 관련 방침을 국내외에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도쿄올림픽 ‘공식 파트너’ 중 하나인 마이니치 신문도 이날 사설에서 “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고 개최를 둘러싼 불안이 국내외에서 높아지고 있다”며 “현실을 똑바로 보고 논의를 서둘러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논평했다.
이후 일본 정부와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해당 보도를 부정하고 개최를 위한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강조했으나, 취소론은 확산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긴급사태 선언 이후에도 확진자 증가세가 꺾이지 않으면서 당초 예정대로 다음달 7일 긴급사태를 종료하는 게 불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3월 1차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버티고 버티다 결국 대회 연기를 발표한 일본 정부는 이미 상당한 경제적 피해를 떠안은 상태다.
일본 당국은 지난달 대회 연기와 코로나19 대책에 소요되는 추가 경비가 2940억 엔(약 4조 원)에 달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대회 경비는 총 1조 6440억 엔(약 17조 300억 원)으로 늘어나는데, 이는 올림픽 사상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은 도쿄올림픽 강행 여부와 관계없이 ‘대회 불참’을 선언하는 국가들이 나타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해 3월 도쿄올림픽 1년 연기 결정 당시에도 캐나다의 불참 선언이 큰 영향을 미쳤다.
이와 관련해 마이니치는 관람객 제한 여부와 선수단 감염 방지 대책을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해야 할 과제로 꼽으면서 ”개최에 대한 위기감, 관계자의 구체적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현재 상황을 신속히 개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민정 (a20302@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정의당 ‘성추행’ 김종철 대표 직위해제 “가해 인정”(종합)
- 써브라임아티스트 측 ""배우 송유정 지난 23일 사망"" [공식]
- "열네살 주식수익 인증 925만원"…제주 초등생의 투자비법
- 10세 여아 끌고 가 '우유 먹여달라'…엽기행각 벌인 20대 男
- 송가인, 악플러에 "복스럽단 말 많이 듣지만 욕은 하지말자"
- 태영호 이어 北 외교엘리트 또 한국行…“북한체제 위기 방증”
- 장진성 “내가 성폭행? 승설향 배후는 남친 황씨…녹취·카톡 증거有”
- 김새롬, 한순간 실언에 10년차 GS홈쇼핑 중단..반응 엇갈려
- [정치탐구생활] 유시민 사과에 출렁이는 차기 대선구도
- 안철수 "與 3법=패륜 3법, 노골적인 금권선거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