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 日 파나소닉에 백신용 '콜드체인 장비' 구입 문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포함 미국, 싱가포르, 중국 등 파나소닉 냉동박스 테스트 요청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각국이 백신 확보와 보급에 사활을 걸고 있다.
신야 코지마 파나소닉 수석엔지니어는 FT와 인터뷰에서 "백신이 세계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는데도 냉동 박스는 심각하게 부족하다"며 "우리는 이미 일본뿐 아니라 미국, 싱가포르, 프랑스, 한국,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부터 문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포함 미국, 싱가포르, 중국 등 파나소닉 냉동박스 테스트 요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각국이 백신 확보와 보급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에 따라 백신 수송을 위한 콜드체인(백신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유통망)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 전자업체인 파나소닉에 한국을 비롯해 미국, 유럽, 중국 등 당국의 문의가 쏟아지고 있다.
24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현재 미국, 유럽 등지의 회사들로부터 코로나 백신 수송을 위한 초저온 냉동박스를 시험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다. 일본 정부가 코로나 백신 보급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지만, 정작 백신을 안전하게 이동할 콜드체인 장비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신야 코지마 파나소닉 수석엔지니어는 FT와 인터뷰에서 "백신이 세계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는데도 냉동 박스는 심각하게 부족하다"며 "우리는 이미 일본뿐 아니라 미국, 싱가포르, 프랑스, 한국, 중국을 포함한 전 세계로부터 문의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 백신은 저온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해 변형이나 손상이 없도록 해야 한다. 보관, 유통 온도 조건은 백신 종류마다 제각각이다. 화이자는 영하 70도 초저온이 지켜져야 하고, 모더나는 영하 20도를 유지해야 한다.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은 2~8도에서 냉장 기준을 맞춰야 한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인 그랜드뷰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백신 저장 및 포장 사업 시장은 지난해 223억달러(약 24조원)에서 2027년까지 433억달러(47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화시스템, 함정 상태기반진단체계도 국산화… “수출 주력품목 될 것”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지역축제...위탁에 재위탁 ‘혈세만 줄줄’
- 소주 2잔 마셔도 대장암 위험 증가…10년 금주해도 소용없다
- BYD 아토3, 출시 7일 만에 사전계약 1000대 돌파… 국내 진출 초반 순항
- 尹, 옥중 편지에서 “국민 여러분 생각이 많이 납니다”
- [금융포커스] 윤석열 참모도 몰랐던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
- 사상 첫 도전… SK하이닉스, 올해 삼성전자 전사업 부문보다 많이 벌까
- '철수설' 딛고 우뚝 선 '래미안', 신용등급 걱정하는 '디에이치'… 연초부터 희비 엇갈려
- “미래에셋이라 믿었는데”… 소속 보험설계사 2000억 PS파이낸셜 사기 연루
- 경호본부장 “관저에 기관단총 배치했다… 공수처 아닌 시위대 대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