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진원 올해 예산 4842억원.. 게임, 전년대비 47% 증가

이현수 입력 2021. 1. 25. 13:38 수정 2021. 1. 25.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올해 지원예산으로 전년대비 12.6%증가한 4842억원을 편성했다.

지원예산을 장르별로 살펴보면 문화기술 816억원, 게임 615억원, 지역콘텐츠 497억원, 방송 496억원, 실감콘텐츠 490억원, 음악 411억원이다.

신기술 지원 사업비는 블록체인, 클라우드게임, 인공지능(AI)기반 게임 콘텐츠 제작에 쓰인다.

콘진원은 중소 개발사가 해외진출에 필요한 자원을 직접 선택해 사용하는 '게임기업자율선택지원' 사업에는 73억원을 책정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영준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올해 지원예산으로 전년대비 12.6%증가한 4842억원을 편성했다. 실감콘텐츠 육성, 정책금융 확대, 해외진출 강화에 집중하는 한편 제도개선을 통해 업계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김영준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25일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콘텐츠 기업에 대한 지원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공감한다. 콘텐츠 소비를 통해 국민 삶이 풍요로울 수 있게 수요자 중심 사업을 적극 발굴하겠다”면서 올해 사업계획을 밝혔다.

지원예산을 장르별로 살펴보면 문화기술 816억원, 게임 615억원, 지역콘텐츠 497억원, 방송 496억원, 실감콘텐츠 490억원, 음악 411억원이다. 장르 공통으로 1091억원을 편성했다. 기능 구분으로는 제작지원 1606억원, 인프라 지원 1215억원, 해외진출 412억원, 인력양성 348억원이다.

장르별로는 게임과 음악이, 기능별로는 제작지원 사업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게임은 작년 418억원에서 47% 증가했다.

게임콘텐츠 제작지원은 3개 분야로 세분화됐다. 기존 모바일, PC 게임 제작 지원 사업(118억원)에 신기술기반형 게임 제작지원(50억원), 신시장 제작지원(45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총 68개 과제를 선정한다.

신기술 지원 사업비는 블록체인, 클라우드게임, 인공지능(AI)기반 게임 콘텐츠 제작에 쓰인다. 플랫폼 상관없이 연구소와 대학 등 비영리 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다. 종료일까지 론칭빌드를 완성해야 한다.

모바일과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콘솔, 보드, 아케이드 게임 지원하기 위한 신시장 지원 사업은 국내외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하면 우대한다. 콘솔 게임은 과제당 최대 4억원으로 10개 내외를 선정할 계획이다.

처음으로 스타트업과 인디 성장단계별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게임기업 육성'사업도 추진한다. 총 28억원 규모다. 초창기 기업을 지원하고 인디게임콘텐츠 문화 확산을 노린다. 발굴과 사업화, 경영관리 교육이 포함된다.

건전게임문화활성화에는 120억원을 편성했다. 게임인식 개선을 통해 산업 발전 기반을 강화한다. 게임 사회·문화적 가치확산을 위한 연구에 19억5000만원, 게임리터리시 교육과 게임과몰입 힐링센터 지원에 23억원을 배정했다.

인디게임 경진대회, 청소년 게임잼 등과 더불어 게임문화 축제 등 생태계 다양성 구축을 위해 79억원을 사용할 예정이다.

e스포츠 인프라 구축과 정책연구에는 37억원을 배정했다. e스포츠 상설경기장 구축 사업에 대기업과 그 계열사가 참가할 수 있게 기준을 일부 완화했다.

콘진원은 중소 개발사가 해외진출에 필요한 자원을 직접 선택해 사용하는 '게임기업자율선택지원' 사업에는 73억원을 책정했다. 유통지원 사업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다. 개발 외 자원이 부족한 중소 게임사 해외 진출 가능성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함께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글로벌게임허브센터에 47억원을 배정해 중소게임사 글로벌 진출을 지원한다.

게임인재원과 게임마이스터고에는 각각 18억원, 15억원의 운영비를 편성했다. 게임국가기술자격검정에 5억원을 배정했다. 공적인 인력검정 체계를 구축해 업계 수요에 맞는 인력을 배출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혁수 게임본부장은 “올해는 강소 게임기업 육성과 게임 가치 확산이 목표”라며 “많은 게임기업이 지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콘진원은 올해 중간평가제도를 폐지한다. 대신 중간점검을 도입해 평가에 대한 부담을 줄여 사업추진에 전념할 수 있게 한다. 경쟁입찰 시 실적기반 자격제한을 폐지해 신생 기업도 기회를 얻을 수 있게 개선했다.

이현수기자 hsool@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