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駐쿠웨이트 외교관 귀순설..국정원 "확인 불가"
전직 쿠웨이트 주재 북한 대사대리가 망명해 2019년 9월쯤 입국했던 것으로 25일 뒤늦게 알려졌다.
복수의 소식통에 따르면 2017년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 채택 후 서창식 당시 쿠웨이트 주재 북한 대사가 추방되면서 대사대리를 맡았던 류현우 전 대사대리가 가족과 함께 탈북해 국내로 입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류 전 대사대리는 참사관 직급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입국 시점은 2019년 9월이라고 이날 일부 매체는 보도했다. 2019년 7월 한국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진 북한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대사대리와 입국 시점이 거의 비슷하다.
류 전 대사대리는 자녀의 미래를 고려해 탈북을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류 전 대사대리가 김정일·김정은의 통치자금을 관리하는 노동당 39호실의 수장을 지낸 전일춘의 사위라는 관측도 나온다.
국가정보원 관계자는 류 전 대사대리의 국내 입국설과 관련해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다. 한 대북 소식통은 “최근 국내 탈북민 사회와 외교가에선 류 전 대사대리의 망명설이 있었다”고 말했다.
해외 주재 북한 외교관, 외화벌이 노동자 및 관련 기관 파견원들은 2017년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외화 상납이 어려워지고 북한으로 돌아갈 처지에 놓이자 이탈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1990년대 중반부터 외화벌이를 위해 걸프 산유국의 건설 현장 등에 노동력을 파견해 왔다. 최대 1만여명에 달했던 중동 파견 노동력을 통해 연간 1억달러(약 1100억원)를 벌었다. 하지만 2017년 제재 강화로 중동권 북한 노동자 수는 대폭 줄어들었다. 북한은 제재로 기존 돈줄을 잃자, 최근엔 가상화폐나 사이버 활동을 통한 외화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마약 투약’ 장남 재판 참석한 남경필, “바라는 건 아들 단약”
- 이탈리아전 준비끝...김은중 감독 “이젠 정신력 집중력 싸움”
- 1만종 근접한 세계 ETF, 정치 성향과 질병, 재난까지 투자 대상
- 안보 문제에서 뭉친 美 의회 “정보만큼은 당 떠나 국익 우선해야”
- 호주 이어 캐나다까지 ‘스톱 앤 고’…커지는 금리 추가인상 공포
- 年 10만달러까지 사전 신고없이 해외 송금 가능해진다
- “코인투자 어떠한 불법도 없었다” 김남국, 與 김성원·장예찬 고소
- 기술유출 범죄 87%가 집유·무죄... 대만은 간첩죄, 美는 최대 405개월형
- 3시간 탈장 수술 견딘 86세 교황… 마취 깨자마자 던진 농담은
- 법원 “인터넷 쇼핑몰, 시각장애인용 화면 낭독기 제공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