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전세(傳貰)'와 '전세(專貰)'

2021. 1. 25. 0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무지 멈출 줄을 모르는 '전셋값' 오름세는 서민의 삶을 힘들게 하지만, 우리네 말글살이에도 곤혹스러움을 안겨준다.

이어 1992년 발간한 <우리말 큰사전> 에는 '전세' 표제어에 傳貰와 專貰를 함께 처리했다.

'전세(專貰)'는 '전세(傳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말이다.

어떤 장소나 물건을 혼자 독점하다시피 하는 사람에게 "네가 전세 냈냐!"라고 따질 때도 같은 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세(專貰)'는 '전세(傳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말이다. 專貰는
일정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빌리는 것을 뜻한다. '오로지 전(專)' 자가
쓰였음을 눈여겨봐야 한다. 전세기, 전세버스에서 그 쓰임새를 찾아볼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도무지 멈출 줄을 모르는 ‘전셋값’ 오름세는 서민의 삶을 힘들게 하지만, 우리네 말글살이에도 곤혹스러움을 안겨준다. ‘값’은 본래 물건을 사고팔 때 치르는 대가를 말한다. 1957년 완간된 <조선말 큰사전>(한글학회) 때까지만 해도 그랬다. 지금은 ‘값’의 용법이 10여 가지는 된다. 의미가 더해지면서 말의 쓰임새가 확대됐다는 뜻이다.

 전셋값과 전셋돈은 달라…구별해 써야

‘전세(傳貰)’의 ‘세’는 ‘세낼 세(貰)’ 자다. ‘세내다’란 빌리다, 즉 일정한 삯을 내고 남의 소유물을 빌려 쓴다는 뜻이다. 이 임차제도는 특이하게도 기한이 만료되면 보증금을 돌려준다. 그 앞에 ‘전할 전(傳)’ 자가 쓰였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계약기간 동안 ‘일정한 삯’을 주인한테 ‘전하는 또는 맡기는’ 것이다. 그 돈을 전세금 또는 전셋돈이라고 한다. 민법상 용어도 ‘전세금’이다. “전세금(전셋돈)을 내야 하는데,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라고 한다. 이를 “전셋값을 내야 하는데~” 또는 “전셋값을 아직 마련하지 못했다” 식으로 말하면 어색하다. 전셋돈과 전셋값의 용법 차이가 드러난다.

이 ‘전세’가 지금과 같이 자리 잡기까지에는 다소 우여곡절이 있었다. 한글학회에서 1957년 펴낸 <조선말 큰사전>에는 ‘전세’가 傳貰로 나온다. 그런데 1986년 나온 <새우리말사전>에는 專貰로 올랐다. 이어 1992년 발간한 <우리말 큰사전>에는 ‘전세’ 표제어에 傳貰와 專貰를 함께 처리했다. 말의 유래와 용법에 혼란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전세(專貰)’는 ‘전세(傳貰)’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말이다. 專貰는 일정기간 동안 독점적으로 빌리는 것을 뜻한다. ‘오로지 전(專)’ 자가 쓰였음을 눈여겨봐야 한다. 전세기, 전세버스에서 그 쓰임새를 찾아볼 수 있다. 어떤 장소나 물건을 혼자 독점하다시피 하는 사람에게 “네가 전세 냈냐!”라고 따질 때도 같은 말이다.

 ‘대절’은 일본식 용어…전세(專貰)로 순화

이 ‘전세(專貰)’는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 그것이 ‘전세(傳貰)’와 구별되는 차이점이다. 그래서 전세버스를 빌리는 데 들어간 돈은 이용료, 즉 비용이다. ‘전세버스비’라고 한다. 무심코 “전세버스값이 꽤 비싸네”라고 하면 안 된다.

“버스값이 또 오른대.” “일본은 택시값이 비싸기로 유명하지.” 이런 데 쓰인 버스값, 택시값도 잘못 쓰는 용법이다. 이런 지적은 나온 지가 꽤 오래됐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 입에 오르내린다. 한번 잘못 익힌 말은 바로잡기 쉽지 않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값’이 물건을 사고팔 때 치르는 돈인 데 비해, 그것을 이용하는 대가로 치르는 돈은 요금 또는 비용이다. 버스비(료), 택시비(료)가 바른 말이다. 이를 고유어인 ‘삯’이라고 하면 더 좋다. ‘삯’은 일을 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 또는 어떤 물건이나 시설을 이용하고 주는 돈이다.

예전에 ‘대절버스’라는 말이 쓰였다. 대절(貸切)은 일본식 한자어인데, 그것을 대체한 게 전세(專貰)다. 앞서 살핀 전세(傳貰)와 함께 우리가 만든 한국 한자어다(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옛날 있었던 전매청(專賣廳, 현 KT&G)이 이 ‘오로지 전’을 썼다.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hymt4@hankyung.com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정부에서는 지속적인 우리말 순화 작업을 벌여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국어순화자료 제2집(1978, 문교부)’을 비롯해 ‘국어순화자료-학교 교육용(1983, 문교부)’ ‘국어순화용어자료집-일본어투 생활 용어(1997)’ 등이 그 결과물이다. 하지만 우리말 속 일본어 잔재는 뿌리 깊게 남아 요즘도 간혹 “버스를 대절했다” 식으로 말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경 고품격 뉴스레터, 원클릭으로 구독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