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공공기관 승진심사 때 軍복무기간 반영해선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에 직원의 승진 자격을 심사할 때 군 복무기간을 반영하는 조항을 없앨 것을 권고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군 경력을 호봉으로 인정해 보수를 더 받는 것은 보상 차원에서 허용되지만 승진까지 반영하는 것은 차별이라는 게 정부의 해석"이라며 "정부 부처에 이미 도입된 인사 제도로 일부 공공기관이 해당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어 주의 차원에서 공문을 보냈다"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이런 내용을 담은 ‘승진 시 남녀차별 규정 성비’라는 제목의 공문이 13일 공공기관에 발송됐다. 이 공문에는 “군 경력이 포함되는 호봉을 기준으로 승진 자격을 정하는 관련 규정을 조속히 정비해 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기재부 관계자는 “군 경력을 호봉으로 인정해 보수를 더 받는 것은 보상 차원에서 허용되지만 승진까지 반영하는 것은 차별이라는 게 정부의 해석”이라며 “정부 부처에 이미 도입된 인사 제도로 일부 공공기관이 해당 지침을 따르지 않고 있어 주의 차원에서 공문을 보냈다”라고 밝혔다.
현재 일부 공공기관은 내부 승진 시 최저 근속 연한을 산정할 때 군 복무기간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여성 직원은 같은 연차인 군필자 남성 직원보다 2년 가량 승진에서 뒤쳐지게 된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이에 대해 성별 등의 사유로 합리적인 이유 없이 근로조건을 달리하는 남녀고용평등법에 위반된다고 해석했다. 해당 조치는 36개 공기업과 95개 준정부 기관, 209개 기타 공공기관 등에 적용된다.
세종=구특교 기자 koot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조수진 “‘유시민 근거있다’던 홍익표 어떤 태도 보일지”
- “무서워 못하겠다”는 학생에 스쿠버 강행…사망 이르게 한 강사 벌금형
- 박영선도 “대한민국은 문재인 보유국!!!” 찬사
- “지금 ‘그알’이 중요한게 아니에요” 발언 김새롬 사과 “신중 못했다”
- 정 총리 “100조짜리 손실보상법? 악의적 보도에 저의 의심돼”
- 이용구 “블랙박스 관련 진위공방 안할 것…영상 제출은 다행”
- ‘이용구 폭행 영상 묵살’ 경찰관 대기발령…진상조사 착수
- 대림동 길거리 살인…“전 여친이 재결합 거부해서”
- 文대통령 69번째 생일에 시진핑 등 축하…친문들 잡지 광고도
- 전두환, 항소심 앞두고 또…“서울서 재판 받게 해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