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토크쇼의 전설' 하늘로 떠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토크쇼의 전설'로 불린 래리 킹(본명 로런스 하비 자이거)이 23일(현지시간) 세상을 떠났다.
1933년 유대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킹은 라디오를 들으며 방송인을 꿈꿨다.
특히 1985∼2010년 미 CNN의 생방송 토크쇼 '래리 킹 라이브'를 진행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그래서 1988년 의료보험이 없는 사람들의 치료를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래리 킹 심장 재단(LKCF)을 만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5년간 CNN '래리 킹 라이브' 진행
50여년 유명인 등 5만여명 인터뷰
푸틴 "전문성 높은 언론인" 조의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킹은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한 의료 센터에서 사망했다. 킹이 설립한 미디어 네트워크 회사인 오라 미디어는 그의 사인이 정확히 무엇인지 밝히지 않아 궁금증을 남겼다. 사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다만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려 지난 4일까지 집중 치료실에서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1933년 유대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킹은 라디오를 들으며 방송인을 꿈꿨다. 1957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작은 AM 라디오 방송국에 청소부로 들어갔다. 디제이(DJ)가 갑자기 그만두면서 대신 DJ를 맡게 됐다. 킹이란 예명도 이 방송국 국장이 지어 준 것이다.
그렇게 라디오를 시작으로 TV와 디지털 미디어를 넘나들면서 2010년 은퇴하기 전까지 50여년간 약 5만명을 인터뷰했다. 특히 1985∼2010년 미 CNN의 생방송 토크쇼 ‘래리 킹 라이브’를 진행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25년간 6000여회에 걸쳐 유명인, 정치인 등 3만여명을 인터뷰했다. 제럴드 포드와 빌 클린턴, 버락 오바마 등 미 대통령들도 줄줄이 그와 마주 앉았다.
글재주도 있었다. 2001년까지 약 20년간 미 일간 USA투데이에 쓴 칼럼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사회 공헌에도 힘썼다. 노년에 당뇨병을 비롯해 심근경색, 폐암, 협심증 등 여러 질환을 앓은 킹은 새삼 의료 시스템의 중요성에 눈을 떴다. 그래서 1988년 의료보험이 없는 사람들의 치료를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래리 킹 심장 재단(LKCF)을 만들었다.
CNN은 “수많은 뉴스 메이커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우상이 된 전설적인 토크쇼 진행자”라고 애도했다. CNN 설립자 테드 터너는 “역대 최고의 세계적인 방송인”이라며 “내 인생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은 CNN을 설립한 것과 킹을 고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조차 킹 사망 소식에 조의를 표했다고 크레믈궁이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레믈궁 대변인은 “킹은 여러 번 푸틴 대통령을 인터뷰했다”며 “푸틴 대통령은 항상 킹의 높은 전문성과 반박의 여지가 없는 언론인으로서 권위를 높이 평가했다”고 전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